안티고네의 주장 동문선 문예신서 288
주디스 버틀러 지음, 조현순 옮김 / 동문선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티고네는 어떤 언어를 통해서 자기 행동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는가, 또는 어쩌면 그 주권의 부인을 거부하는 것인가?... 안티고네는 크레온의 언설(utterance)이 갖는 발화 수반 수행문(illocutionary)의 실패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녀의 저항은 매장 행위와 매장한 인물간의 분리를 거부하면서 다시 화자가 그 말의 주인임을 주장하는 언어 형태를 취하고 있다. "나는 내 행동을 부인하지 않겠습니다(I will not deny my deed)"라는 말은 "나는 부인하지 않습니다(I do not deny)", 즉 나는 강요에 못이겨 부인하지는 않겠습니다가 되고, 이는 다시 말해서 나는 억지로 부인하기를 거부할 것이라는 말이고, 내가 부인하지 않게 될 것은 나의 행위(my deed)라는 말이다._버틀러, <안티고네의 주장>, p25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가 바라본 주인공 안티고네는 여러 면에서 두 개의 모순이 충돌하는 인물이다. 부계로는 아버지이자, 모계로는 오빠인 오이디푸스와의 관계 속에서는 혈연의 모순 문제가 발견되며, 크레온과의 설전을 통해 자신의  죽은 오빠인 폴리네이케스를 매장하는 '행위'와 이를 변호하는 자신의 '발화'에서도 모순을 드러낸다. 버틀러에 따르면 친족을 매장하는 행위는 여성적이지만, 크레온과 말다툼을 통해 행위를 변호하는 발화는 남성적인 것으로 또다른 모순이다. 이처럼 버틀러가 바라본 안티고네는 헤겔과 라캉의 해석과는 달리 전형성을 갖지 못한 인물이다. 


 흥미롭게도 안티고네의 매장 행위와 그녀의 언어적 저항은 둘 다 코러스, 크레온, 그리고 메신저로 하여금 그녀를 '남자답다'고 부르게 만드는 이유가 된다... 안티고네는 어떤 남성적 통치권의 형태, 누군가와 공유할 수 없는 남성성을 띠고 있는 것처럼 보이며, 남성적 통치권은 그 상대편이 여성적인 동시에 열등한 사람이 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_버틀러, <안티고네의 주장>, p27


 안티고네는 친족 신의 이름을 걸고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 친족 신의 명령을 위반함으로써 행동한다. 그 위반은 친족에게 금기의 차원이나 규범의 차원을 주지만 동시에 그것의 취약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사실 이 두 행위는 서로 맞서는 것이기보다는 서로를 거울처럼 되비치고 있다._버틀러, <안티고네의 주장>, p29 


  개인적으로 버틀러의 해석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크레온의 역할이다. 헤겔의 <안티고네> 구조에서 크레온은 '국가법'의 상징이며, 라캉의 <안티고네> 구조에서는 상징계에서 욕망의 불가능하게 만드는 존재다. 반면, 버틀러에게 크레온은 안티고네의 대척점에 서 있는 인물이 아니라, 안티고네의 거울이 되고, 안티고네와의 논쟁을 통해 교차점이 되면서 모순으로부터 새로운 가능성을 끌어내는 '조력자'다.


 안티고네는 자신이 반대하는 것의 위상이나 언어를 전유해서 크레온의 통치권을 가장하고, 심지어는 자신의 오빠에게 운명지어진 영광을 주장하기까지 한다...  안티고네의 죽음은 극 전체에서 언제나 이중적이다. 즉 그녀는 살지 못했고, 사랑하지도 않았으며, 따라서 아이들을 낳지도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오이디푸스가 자식들에게 했던 저주, 평생 동안 '사형을 선고받는' 저주를 받아 왔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죽음은 살지 못했던 삶을 의미하고, 그리하여 크레온이 마련한 삶 속의 무덤으로 다가갈 때 그녀는 지금껏 내내 자신의 것이었던 어떤 운명과 만나게 된다. 그것은 어쩌면 존속될 수 없는 욕망, 안티코네가 더불어 살아가는, 다름 아닌 근친상간의 욕망 그 자체가 아닌가?_버틀러, <안티고네의 주장>, p50


   <안티고네>라는 드라마에서 근친상간에 대한 금기는, 금기 그 자체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것을 요구한다. 즉 금기를 단순히 부정적이거나 무엇인가를 빼앗는 권력 작용으로 보자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금지하고 있는 그 죄 자체를 자리바꿈(displacement)함으로써 자신을 증식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자는 말이다. 근친상간의 금기와 그에 대한 무서운 비유는 근친상간이야말로 친족에 가장 중추적 가능성이라는 것을 감추는 친족계보를 그려낸다. 그러면서 규범의 한가운데에 '일탈(aberration)'을 세워두는 것이다._버틀러, <안티고네의 주장>, p113


 결국, 버틀러는 <안티고네의 주장>을 통해 여러 모순이 뒤섞인 보편적이지 않는 '안티고네'라는 인물이 갖는 모순 속에서 새로운 질서를 기대한다. 기존의 체계가 결코 설명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이를 대체하는 법칙과 체계는 안티고네의 죽음으로부터 도래할 것이다. 이런 면에서 안티고네의 죽음은 새로운 질서의 탄생을 알리는 새로운 서막으로 버틀러는 해석한다. 


 안티고네는 인간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언어로 말하고 있다. 어떤 행위가 금지되었어도, 그녀는 금지된 행위를 하며, 그 행위는 어떤 기존 규범에 단순 동화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그리고 그녀는 행동할 권한이 없는 사람으로서 행동하면서, 인간됨의 전제 조건이 되는 친족이라는 어휘를 뒤덮는다. 그러면서 은밀히 우리에게 인간이 된다는 것의 전제 조건이 정말 무엇이어야 하는지의 문제를 제기한다. 안티고네는 그 어떤 최종적인 동일시도 불가능한 주장의 언어에 참여하면서, 자신이 배제되어 있는 호칭의 언어 안에서 말한다... 또한 그녀가 자신에게 속할 수 없는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한, 안티고네는 정치적 규범들의 어휘 안에 있는 어떤 교차점(chiasm)으로 작동하게 된다. 만일 친족이 인간이 된다는 것의 전제 조건이라면, 안티고네는 정치적 비유어의 오용을 통해서 이룩된 새로운 영역의 인간에 대한 사례가 될 것이다. 이 새로운 영역의 인간은 인간보다 못한 것이 인간으로서 말할 때, 젠더가 뒤바뀌고, 친족이 자신이 토대한 법 위에서 비틀거릴 때 생겨난다._버틀러, <안티고네의 주장>, p138


 이처럼 버틀러의 해석은 안티고네와 크레온의 대립에 중점을 둔 헤겔의 해석이나 안티고네의 한계, 극한에 중점을 둔 라캉의 해석과는 달리 안티고네의 내적 모순에 초점을 둔다. 그리고, 이로부터 기존 질서의 전복 가능성을 끌어내며 <젠더 트러블>에서 제기한 문제와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신선하게 느껴진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버틀러의 해석에 대해 몇 가지 의문점을 갖는다. 먼저, 자신의 전복적 질서를 끌어내기 위해 작품 외적인 요소를 끌어들인 부분은 다소 무리한 전개로 느껴진다. 소포클레스의 3부작 순서에서 <안티고네>가 먼저 쓰여졌다는 작품 외적 사실이 '과거의 저주'가 현재를 규정한다는 논리의 근거가 될 수 있을까? 


 다른 한편으로, 버틀러의 젠더의 수행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갖게 된다. 버틀러는 <안티고네의 주장>에서 안티고네가 '발화'를 통해 남성성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여성적 행위를 변호한다는 것이 모순이라는 논리를 펼치지만, 이러한 논리는 이미 규정된 '남성성'과 '여성성'을 전제하는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젠더는 수행적이며 행위'라는 <젠더 트러블>에서 버틀러의 주장과 이 부분의 해석은 충돌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물음을 던지게 된다. 이러한 물음에 대해서는 천천히 정리하도록 하고, 기왕 정리한 김에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다뤄진 <안티고네>도 조만간 정리하겠다는 계획을 세우며 리뷰를 갈무리한다...


  소포클레스는 <콜로누스의 오이디푸스>를 쓰기 수 년 전에 <안티고네>를 썼지만, <안티고네>에서 일어나는 행동은 <콜로누스의 오이디푸스>에서 일어나는 행동 다음에 일어난다. 이 뒤늦음의 의미는 무엇인가?... 저주는 그 저주 자체에 앞서 저주가 명하는 행위 때문에 어떤 시간성을 성립하게 된다. 저주의 말은 이미 언제나 일어났던 것을 미래로 가져간다._버틀러, <안티고네의 주장>, p103

안티고네의 죄는 혼란스럽게 얽혀 있다. 그것은 그녀 자신이 계승하고 전달하는 친족의 계보가 이미 명백한 근친상간적 행위 때문에 혼란스러워진 부계적 위치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근친상간 행위는 안티고네의 존재 조건이고, 그녀의 오빠를 아버지로 만들며, 언어적으로는 ‘어머니‘를 제외한 모든 친족 위치를 다 차지하는 서사, 친족과 젠더의 일관성을 희생시키면서 그 모든 위치를 다 차지하는 어떤 서사를 시작하게 한다 - P12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풍오장원 2021-05-05 22: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안티고네라면 라캉의 논의에서 중요한 재료로 다뤄졌던 기억이 나는데, 버틀러의 안티고네도 궁금합니다^^

겨울호랑이 2021-05-05 22:26   좋아요 1 | URL
<안티고네의 주장>에서 버틀러는 라캉과 같이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상징계의 극한에 선 안티고네는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보입니다. 이미 추풍오장원님께서는 <안티고네>에 대한 라캉의 입장을 알고 계시니 같은 도구를 사용해 다른 길로 가는 <안티고네의 주장>을 더 재밌게 읽으시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