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때와 다른 점이 하나 있다면, 그때는 상감과 더불어 조정과 백성들이 혼연일체가 되어 싸웠다는 점이고, 이번에는 상감과 조정은 왜놈들 편에 서서 의병을 역적시하며 해산령을 내리거나 매도하는 가운데 백성들이 자발로 나서서 싸운 것이 크게 다른 점입니다._ 조정래, <아리랑 2> 中
조정래(趙廷來, 1943 ~ )의 <아리랑>에서는 일본편에 서서 의병을 탄압하는 양반과 지배계급에 대한 비판이 양반 출신 의병장 송수익의 입을 빌려 나온다. 사실, 엄밀하게 말하자면 당시 임금 선조(宣祖, 1552 ~ 1608)는 빠른 속도로 의주까지 도망간 후 여차하면 명나라로 들어갈 생각을 했으니, 당시 상감이 백성과 함께 했다는 송수익의 말은 무리가 있다. 다만, 광해군(光海君, 1575 ~ 1623)이 분조(分朝)해서 백성을 위무했다는 점에서 조정과 백성들이 혼연일체가 되었다는 말은 무리가 없겠지만. 아마도 송수익의 마음은 힘이 없더라도 최소 포로로 끌려갔다 도망간 이들을 변호하는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 ~ 1645)의 역할도 하지 않은 당시 조정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고 싶었으리라.
17일 오후 아문통사 한보룡(韓甫龍)이 관소에 와서 말하기를, "봄이 온 후로 도망간 사람이 무려 천여명이나 되어 잡아보내라는 뜻을 전후로 거듭 당부하였습니다. (그래서) 조선이 반드시 마음을 다하여 시행할 것으로 생각했었는데 보낸 숫자를 보니 매우 엉성합니다.. 그 도망간 사람은 또한 의당 알려서 잡아보내시오."라고 하였습니다. 저희들이 대답하기를, "조선이 받들어 행함에 있어 어찌 감히 마음을 다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목숨을 걸고 도망하여 숨은 사람을 잡기란 쉽지 않으며 만일 잡는다 하더라도 하나하나 들여보내니 그 수가 많지 않은 것은 일의 형편이 그래서입니다. 신사년 인조 19년"_ 소현세자, <심양장계 瀋陽狀啓>, p579
그렇지만, 송수익의 바람과는 달리 당시 조선의 관리들은 빠르게 힘의 이동을 깨닫고, 친일파로 변신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권세와 부를 지킬 수 있었다. 반면, 가진 것 없고 이 땅의 주인이었던 적이 없는 백성들은 의병(義兵)이라는 이름으로 이들과 맞섰다.
조선관리들은 궁장토며 역토 둔토 같은 것들이 전부가 국유가 아니고 태반이 사유지라는 내력을 환히 아는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그러면서도 그 사람들은 사유지들까지 다 몰아 왜놈들에게 넘겨 주는 짓을 저질렀던 것이다._ 조정래, <아리랑 3> 中
그들은 용맹스러웠다. 보잘 것없는 무기로 신식무기를 갖춘 적들과 맞서 싸웠다. 모두가 혼신의 힘으로 다해 싸우다가 죽어갔다. 누가 강제로 끌어낸 것도 아니었고, 싸움에 이긴다고 무슨 보장이 되어 있는 것도 아니었다. 그런데 그들은 죽음을 피하지 않고 당당하게 싸우다가 죽어갔다. 그들은 누구였는가. 그들은 사람대접이라고는 받아보지 못하고 살아온 하층민이었다. 대대로 빼앗기고 무시당하며 살아온 사람들이었다. 그런데도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나라를 구하려고 목숨을 내걸고 나섰던 것이다. 결국 나라의 참된 주인은 왜적과 맞서 싸우다 죽어간 그들이었다. 그리고 그들을 뒤에서 도운 수많은 사람들이었다. _ 조정래, <아리랑 2> 中
이들은 무엇을 지키려고 했을까. 자신들을 업신여기고 수탈했던 조선(朝鮮)이라는 나라가 사라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누구보다 더 컸을 이들이, 선장마저 떠난 배를 지키기 위해 일어선 이유는 무엇일까. 마을마다 전해지는 소년장수, 총각장수 전설 속에는 체제를 지키기 위해 부당하게 탄압받던 백성의 아픔이 담겨있는데, 이러한 아픔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자신의 목숨을 바쳐 지키고자 했던 것이 나라뿐이었을까.
백성들이 무식한 것은 그들이 글배우기를 싫어했거나 아둔을 타고나서가 아니었다. 그들은 글을 배우고 싶어도 배울 수가 없었다. 상것들은 절대 글을 익힐 수 없는 것이 수백 년에 걸친 규범이었다. 그건 양반층이 자행한 횡포고 억압이었다. 양반층은 권력을 독점한 상태에서 일체의 세금만 안 낸 것이 아니었다. 그 권세를 세세만년 누리기 위해서 백성들을 무식한 바보로 만들어 마음대로 부려왔던 것이다... 결국 양반층은 송수익의 말대로 위로는 왕족을 업고 아래로는 백성들을 짓밟아가며 권세와 부의 감미만 빠는 그릇된 부류일지도 몰랐다. 사실 그들이 올바르게 나라를 다스리고 있다면 백성들을 모두 강압적으로 우민을 만들 이유가 없는 것이고, 반란을 두려워해 사람을 그렇게도 잔인하게 병신을 만들 까닭도 없는 것이었다._ 조정래, <아리랑 4> 中
만약, 그들이 지키고자 했던 것이 나라가 아니었다면, 그들이 함께 한 마을 공동체였을까. 그렇다면, 마을 공동체가 갖고 있는 억압구조에 부당함을 느낀 이들은 없었을까. 같은 사안에 대해 여자에게 더 엄격한 사회규율에 대한 불만이 있었음에도 많은 이들이 일제 지배에 저항한 이유는 무엇일까.
몸을 섞었다고 소문을 내버리면 그건 마지막이었다. 그것이 거짓말이라고 하더라도 변명이 통하지 않았다. 남자가 발설한 이상 모두 남자의 말을 믿어버릴 것이었다. 샛서방질한 년은 남편도 손을 대지 못했다. 그건 여자가 저지른 죄 중에 대죄라서 동네사람들 모두가 나서서 다스렸다. 그 벌은 끔찍스러웠다. 새끼줄에 목이 끌려 동네돌림을 당하며 돌질에 얻어맞거나 물벼락을 뒤집어써야 했다. 또는, 속곳을 벗긴 채 홑치마만 걸치고 배꼽 높이로 팽팽하게 맨 새끼줄을 가랑이 사이에 넣고 타야 했다. 그 둘 중에 어느 것도 견뎌낼 수 있는 벌이 아니었다. 그 벌을 받지 않으려면 동네사람들이 둘 중에 하나를 결정하기 전에 목을 매는 수밖에 없었다._ 조정래, <아리랑 4> 中
<아리랑 4>까지 읽으면서 식민지 시대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 조선의 관리들이 앞장서 친일을 하게 되는 주된 이유가 과연 개인의 영화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성리학적 세계관을 대신한 근대 사상의 도입 때문이었을까. 백성들이 목숨을 걸고 지키려고 했던 것은 과연 자신들을 탄압한 국가였을까, 그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무엇일까. 또는, 그들이 지키려고 했던 것이 오늘날 관점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거슬리는 반동(反動)은 아니었을까, 등등... 어쩌면 작가가 만들어낸 허구의 세계 안에서 이에 대한 답(答)을 구한다는 자체가 매트릭스(Matrix)안에 스스로를 던져 놓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아리랑>을 읽으며 이런 질문을 던지는 것은 그만큼, 역사의 뼈대 위에 살을 잘 붙였기 때문이 아닐까...
보호조약이 체결되었을 때, 그때 실기를 했으면 그 다음 강제 양위를 당했을 때 상감은 만백성을 향해서 외쳤어야 하네. 백성들이여, 나와 더불어 왜적들과 싸우자 하고 말이네. 그러고 군대를 이끌고 앞장섰어야 했네. 그러면 왜놈들이 곧 죽이고 말았을 거라고? 죽이면 죽어야지. 그게 나라를 뺏긴 상감이 책무를 다하는 길이네. 상감이 해산령을 내려도 의병으로 나서서 수만 명씩 죽어가는 백성들인데 만약 상감이 군대를 이끌고 나섰다가 왜놈들의 총칼에 죽었다면 백성들은 어찌했겠나. 이 땅에 합병이란 없었네._ 조정래, <아리랑 2>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