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에서 강조하는 사항은 모집단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정확한 표본 추출 방법을 사용한 표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언론에서는 응답자의 수를 기준으로 대표성 여부를 따지지만, 이는 절반의 진실에 불과하다. random sampling 이라는 전제 하에서 비로소 조사의 신뢰구간이 충족된다고 했을 때, 과연 여론 조사 회사들이 보유한 패널들이 전체 모집단을 대표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해 응답한 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마음 깊이 숨겨둔 다수의 생각을 대신할 수 있을까?

표본 숫자가 아닌 표본 추출 과정에 전반에 대한 과정이 공시될 때, 비로소 여론 조사는 프로파간다의 수단이 아닌 신뢰성과 타당성을 획득한 진정한 사회과학으로 거듭날 수 있지 않을까를 생각해 본다...


  무작위로 선정한 표본의 크기를 1,000개에서 2,000개로 두 배 늘린다고 하면, 표본추출을 위한 비용과 시간도 궁극적으로 두 배로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표본의 오차 한계는 최소치까지만 줄어들 것이다. 이것이 미국이 시행하는 대부분의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표본 크기를1,000개에서 1,500개 사이로 설정하는 이유이다. 이 정도 표본 크기가 정확도 대비 소요 시간과 비용에 대한 효율성을 충족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타협점이기 때문이다. 표본 추출의 핵심은 조사 대상인 모집단 전체의 모든 요소들이 표본으로 선정될 동등한 기회를 부여하는 방법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표본을 선정하였을 때, 추출된 표본은 경험적인 오차 한계내에서 모집단을 일반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 P226

여론조사의 기본 원칙은 ‘무작위‘ 이며, 이 원칙이 바로 여론조사 전문가가 성공적인 표본을 추출할 수 있는 해답이다.
- P22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1-03-25 17: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씁쓸하지만 예전에 포커스 스터디
공부를 해보니, 여론조사는 설계자가
어떻게 질문 등을 설계하냐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는 그런 맹점이 있다고 하더군요.

겨울호랑이 2021-03-25 17:53   좋아요 1 | URL
레삭매냐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사실 여론조사 뿐이겠습니까. 회계 이익도 그렇고, 과학에서 말하는 ‘가정‘도 연구자의 판단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우리는 숫자로 만들어진 데이터로 설득당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