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전설은 초기부터 그리스 신화 - 예를 들어 레다와 백조의 신화나 다나에와 황금의 비(shower of Gold) 신화 - 와 조로아스터교의 사오샨트 신화 양쪽에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모티프를 채택하였다.(p387) <신의 가면 3 : 서양 신화> 中


 조지프 캠벨(Joseph Campbell, 1904 ~ 1987)는 <신의 가면 III : 서양 신화 The Masks of God Vol.III: Occidental Mythology>에서 기독교에서 드러나는 페르시아/이집트 문명의 영향에 대해 말한다. 그는 <신의 가면>에서 페르시아/이집트 문명의 영향은 성모 영보(聖母領報 Annunciation), 그리스도 탄생, 동방박사의 방문에서 잘 드러남을 지적한다.


 진짜 기적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전설의 수준에서만 본다면, 동정녀의 탄생은 기독교 유산 가운데 헤브루 측면이 아니라 페르시아나 그리스 측면에서 나온 신화적 모티프로 해석해야 한다.(p389) <신의 가면 3 : 서양 신화> 中


[그림] 성모영보(출처 : https://www.visituffizi.org/artworks/annunciation-by-simone-martini-and-lippo-memmi/)


 그리스도의 탄생 장면에서는 미트라가 어머니 바위로부터 출생하는 전설에 나오는 귀에 익은 모티프를 되풀이한다. 하늘의 군대라는 것도 조로아스터교적인 배경을 암시한다. 특히 주님의 영광의 빛이 비친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한 광채 - 아베스탄, Xvarnah, "영광의 빛" - 는 아후라 마즈다에 의한 태초의 창조의 빛이다. 이것은 후광으로 상징된다. 후광은 페르시아의 예술에 처음으로 나타나서, 동쪽으로는 불교도들에게, 서쪽으로는 기독교권에 전파되었다.(p389) <신의 가면 3 : 서양 신화> 中


[그림] 보티첼리, <신비한 탄생, 그리스도의 탄생> (출처 : https://www.pinterest.co.kr/pin/522769469215540357/)

 

 우리에게 예수는 여관 마굿간에서 태어난 전설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콥트 기독교 전승에서는 이집트의 영향을 보다 깊게 확인할 수 있다.


 중동 기독교는 예로부터 예수가 동굴에서 탄생하셨다는 데 초점을 맞춰왔다. 성지의 전통 촌락에 있는 많은 소박한 집들도 동굴에서 시작하여 그 수가 늘어갔다. 예수가 태어나신 곳을 동굴로 보는 전통은 2세기 중엽에 저술 활동을 했던 순교자 유스티누스(Justin Martyr)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p54)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 中


 그리스도의 구체적인 탄생 일자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200년 무렵)는 4월 19일로 추정하는 연대기 학자에서부터 5월 20일로 보는 학자에 이르기까지 그리스도 탄생일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전한다. 클레멘트 자신은 기원전 3년 11월 17일을 그리스도 탄생일로 보았다. 서기 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동방 그리스도교들은 1월 6일을 그리스도 탄생일로 축하했다. 354년에 로마 교회를 비롯한 일부 서방 교회들은 12월 25일에 그리스도의 탄생을 축하했다. 당시 이것은 낮시간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동지로 잘못 계산되었다. 동지는 이미 미트라교의 중심 축제로서, 정복당하지 않는 태양의 탄생일이었다.(p371) <문명이야기 3-2> 中 


 동방박사 방문은 1월 6일에 기념된다. 이 날짜는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는 "처녀" 코레에게서 새로운 아이온(오시리스가 통합주의적으로 인격화된 존재)이 태어나는 것을 기념하는 축제의 날이었다. 그곳에서 코레는 이시스와 동일시되었다. 지평선에 빛나는 별 시리우스(천랑성)가 떠오르는 것이 아이온의 탄생의 표시라고 하여, 사람들은 수천 년 동안 때가 되면 그 별이 떠오르기를 기다려왔다(p390) <신의 가면 3 : 서양 신화> 中



[그림] 동방박사의 방문 <Adoration of the Magi> (출처 : https://smarthistory.org/gentile-da-fabriano-adoration-magi-reframed/)


 캠벨은 페르시아 미트라와 이집트 오시리스 신화의 영향을 받은 그리스도 탄생(성탄 聖誕)을 근거로 헬레니즘(Hellenism)과 헤브라이즘(Hebraism) 더 나아가 기독교에 미친 오리엔트 요소를 찾아낸다. 그리고, 이러한 캠벨의 관점은 마틴 버날(Martin Bernal, 1937 ~ 2013)의 <블랙아테나 Black Athena>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다. <블랙아테나>는 이전에도 여러번 넘겼지만, 이번에도 훗날을 기약한다...


 그리스도 탄생을 12월 25일에 기념하는 현재의 관행은 353년이나 354년이 되어서야 제도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일은 로마에서 교황 리베리우스가 시행한 것이다. 미트라가 어머니 바위에서 태어난 것을 기념하던 축제가 그날 열렸기 때문에, 그것을 흡수하려는 목적이 있었던 것 같다. 당시에는 12월 25일이 동지였다. 따라서 그때부터 그리스도는 미트라나 로마의 황제와 마찬가지로 다시 떠오른 태양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그리스도 탄생 장면에는 2개의 신화와 2개의 날짜가 연결되어 있는 셈이다. 12월 25일과 1월 6일이라는 이 두 날짜는 각각 페르시아권과 이집트권을 가리키고 있다.(p391) <신의 가면 3 : 서양 신화> 中


 캠벨의 저작에서는 그리스도 탄생과 관련한 헬레니즘 영향을 간략하게 언급하기에, 이 부분과 관련해서는 칼 융(Carl Gustav Jung, 1875 ~ 1961)의 <인간과 상징 Man and His Symbols>의 내용을 옮겨본다. 칼 융은 이 안에서 디오니소스교를 계승한 오르페우스교(Orphicism)와 초기 기독교의 관계를 주목한다. 비록, 두 개의 종교는 지향하는 방향이 과거와 미래로 각각 다르지만, 로마 제국 대중에게 소망의 상징이라는 면에서 같은 의미로 다가갔다. 오르페우스와 기독교의 관계에 대해서는 미르치아 엘리아데(Mircea Eliade, 1907 ~ 1986)의 <세계종교사상사 2> 리뷰에서 자세히 다룰 계획이다... 이 역시 훗날에.


 디오니소스교는 정신에서 육체로, 육체에서 정신으로 끊임없이 변전하기 때문에 금욕적인 사람에게 이런 의례는 너무 야만적이고 너무 광폭한 것으로 보였을 것이다. 이같은 사람들은 오르페우스 신앙을 통해 내적으로만 종교적 무아경을 체험하게 된다. 오르페우스는 실제 인물이었던 것 같다. 가수, 예언자, 교사였던 그는 결국 학살당했고, 그의 무덤은 성지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초기 기독교 교회가 오르페우스에게서 그리스도의 원형을 봤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못된다. 이 두 종교는 후기 헬레니즘 세계에 내세의 신성한 삶을 약속한다. 로마 제국의 치하에서 사라져 가는 그리스 문화를 지키려던 대중에게, 신의 중재자이자 인간이었던 오르페우스와 그리스도는 미래의 삶에 대한 간절한 소망의 상징이었다.(p214) <인간과 상징> 中


 페르시아/이집트 문명과 이의 영향을 받은 서양 문명 뿐 아니라, 우리에게도 동지(冬至)는 큰 명절이었다. 과거 페이퍼에 올렸던 내용을 다시 올려본다. 팥죽을 먹으면서 액을 쫓는 행위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팥죽할멈과 호랑이 이야기에서 잘 재현되어있다. 이 책들은 딸아이가 좋아하는 책이므로 곁들어 올려 놓는다.


 동짓날은 작은 설(亞歲) 이라고 한다. 팥죽을 쑤고 찹쌀가루를 새알 모양으로 만들어 그 속에 넣어 심으로 삼는다. 꿀을 타서 명절 음식으로 제사에 올린다. 팥죽을 대문에 뿌려 액운을 없앤다. <형초세시기>를 보면 "공공씨(共工氏)에게 어리석은 아들이 있었는데 동짓날에 죽어서 역귀가 되었다. 팥을 무서워하므로 동짓날에는 죽을 만들어 쫓는다."하였다.(p215)... 동짓날 팥죽에 대한 기록은고려시대 문헌에도 보인다. 이제현(李齊賢, 1287 ~ 1367)의 <동지 冬至>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동지에 반드시 팥죽을 끓인다. 東人冬至必烹豆粥"라고 주석이 달려 있다.(p217)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 中


 밤이 가장 긴, 어둠의 힘이 가장 강한 때인 동지가 거의 모든 문명에서 명절인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깊은 어둠이라는 현재 상황의 어려움보다 이제는 밝음이 길어질 것이라는 희망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 아닐까. 문학작품 <어린 성냥팔이 소녀>, <행복한 왕자>, <크리스마스 캐롤>에서 잘 나타나는 현세의 어두움이 밝은 미래로 바뀌는 순간. 이제는 낮이 밤보다 길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동지(크리스마스)를 명절로 만든 것이라 생각된다. 


 다음날 새벽 어린 소녀는 장밋빛 뺨을 하고 미소를 띤 채, 두 집 사이에 옴츠려 있었다. 소녀는 지난해 마지막 날 밤에 얼어죽은 것이었다.... 소녀가 보았던 것이 얼마나 아름다웠는지, 할머니와 함께 행복한 새해를 맞이하러 간 것이 얼마나 영광스러웠는지 그 누구도 상상할 수 었다.(p360) <주석달린 고전 동화집, 어린 성냥팔이 소녀> 中


 마침내 작은 제비는 자신이 곧 죽을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제비는 행복한 왕자에게 입맞춤을 하고는 왕자의 발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그 순간 동상 속에서 무엇이 쪼개지는 듯한 알 수 없는 소리가 났습니다. 납으로 된 왕자의 심장이 두 쪽으로 갈라진 것입니다. 다음날 이른 아침, 흉해진 행복한 왕자의 동상을 본 사람들은 동상을 끌어내려 용광로에 넣고 녹여 버렸습니다. 그러나 쪼개진 심장은 아무리 해도 녹지 않았습니다.(p26)... 천사는 조각난 납 심장과 죽은 제비를 가지고 하느님께 돌아갔습니다. "이 새는 천국의 뜰에서 노래를 부르도록 할 것이며, 행복한 왕자는 이 곳에서 영원히 살게 할 것이니라.(p28)  <행복한 왕자> 中


 페이퍼가 매우 길어졌는데, 우선 이번 페이퍼에서 말하고 싶었던 것은 크리스마스는 그리스도교 신자들 뿐만 아니라 모든 이들에게 의미있는 날이라는 것이다. 힘든 한 해를 돌아보면서 수고한 자신과 주위를 위로하고 새로운 한 해에 대한 희망을 가지는 날로서. 그리고, 이러한 결론을 내려고 한다.


 크리스마스가 되면 아이들은 환호성을 지르며 좋아합니다. 무슨 선물을 받을까 설게기 때문이지요. 이때 왜 선물을 주고받는지 이유를 설명해 주는 것은 어떨까요? 크리스마스의 진정한 의미는 사랑과 행복을 모두와 나누는 것이니까요. <크리스마스를 찾아서, 추천사> 中


 살펴본 이 모든 것을 종합해서, 이웃분들 모두 행복한 크리스마스 보내시길 바랍니다. 힘든 시간을 잘 이겨내심을 축하드리며, 어제보다 나은 오늘, 그리고 오늘보다 나은 내일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


 페이퍼의 마지막은 크리스마스에 많이 공연되는 차이코프스키(Pyotr Ilyich Tchaikovsky, 1840 ~ 1893)의 <호두까기 인형 Op.71 The nutcracker Op.71>을 소개하며 "Merry christmas!" 라고만 하면 썰렁할 것 같아 작성하다 늘어져버린 페이퍼를 갈무리합니다...



 <호두까기 인형>은 차이코프스키가 작곡한 세 편의 발레 중에서도 가장 짧은 작품으로, 음악성이 원숙에 달한 만년의 시기에 만들어진 대표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속의 공주> 등의 경험이 충분히 살아있는 작품으로서, 음악적으로도 앞의 두 곡에 필적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곡 전체를 통해서도 독특한 그의 어두운 음영이 보이지 않고, 프랑스 민요 등을 교묘히 인용해 시종 밝고 부드러운 분위기에 넘쳐 있다. 더욱이 동화적 세계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섬세하고 독창적인 수법으로 묘사되고 있다. 천진난만하고 사랑스런 소녀 클라라의 심리와 쥐의 대군을 대조적으로 표현한 것은 찬사를 금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그 당시의 발레음악으로서는 처음 시도되어지는 부분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눈의 왈츠>에 어린이 합창을 첨가시켜 그 색채를 풍부하게 그려내었다는 점이다. 또한 첼레스타를 채용하여 훌륭한 효과를 거둔 점 등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p111) <차이코프스키> 中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12-24 19: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12-24 19: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갱지 2019-12-27 09:2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
항상 건강하시고 댁내 두루 평안하시길 기원합니다:-)

겨울호랑이 2019-12-27 10:09   좋아요 2 | URL
갱지님 감사합니다. 갱지님께서도 행복한 연말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다시 인사드립니다.

2019-12-27 10: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12-27 19: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1-02 07: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1-02 08: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1-06 17: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1-06 18:1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