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도철학산책 - 인류의 정신세계와 종교문화의 보고
이태승 지음 / 정우서적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인도 철학 산책>은 인도 철학의 흐름을 알기 쉽게 정리한 입문서다. 이에 따르면 오랜 기간 걸쳐 형성된 인도 철학은 전형적인 변증법(辯證法, dialectics)적 구조를 가지고 형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베다>와 <우파니샤드>의 권위를 인정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인도철학은 크게 두 파(派)로 구분할 수 있다.
인도에서 전개된 철학을 말할 때 중요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 베다(veda)와 우파니샤드(Upansad)에 나타나는 철학사상이다. 베다는 고대인도 아리아인에 의해 만들어진 종교문헌이며, 우파니샤드는 베다문헌의 핵심적인 사상과 철학을 담고 있는 문헌이다.(p18)... 베다와 우파니샤드의 권위와 전통을 인정하는가의 여부와 그 핵심적인 개념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인도철학은 유파(有派)라는 의미의 아스티카(Astika)와 무파(無派)라는 의미의 나스티카(Nastika)로 나누어진다.(p19) <인도 철학 산책> 中
여기에서 말하는 <베다>와 <우파니샤드>의 권위는 크게 '브라흐만'과 '아트만'이라는 존재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거칠게 표현해서 자연법칙인 '브라흐만'과 사회법칙과 심리학의 요소가 있는 '아트만'을 깨달아 카르마(karma)에서 벗어나는 것. 그것이 아스티카가 추구하는 바였다. 반면, 이러한 '브라흐만'과 '아트만'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나스티카의 입장이다.
철학적 사색을 통해 우주자연의 근본원리로 발견된 것이 브라흐만(Brahman)이고, 이 브라흐만은 우주자연의 궁극적인 원리 혹은 근원적인 힘으로 여겼다(p39)... 이 브라흐만은 우주자연은 물론 인간 삶의 근원적인 이치를 알게 하는 본질적인 요소이다. 이와 동일한 근원적인 요소를 인간의 내면에서 발견한 것이 아트만(atman)으로, 아트만을 알게 되면 인간은 고(苦)에서 벗어나 해탈을 이루게 된다.(p40) <인도 철학 산책> 中
유파란 베다와 우파니샤드를 존중하고 받들며 그것들의 중심 개념을 인정하는 사상전통을 가리킨다. 이러한 사상전통을 대표하는 것이 오늘날 6파 철학으로 불리는 상키야, 요가, 바이쉐쉬카, 니야야, 미맘사, 베단타의 여섯 학파이다... 유파 곧 아스티카로 불리는 정통철학에 반대하는 새로운 철학적 전개가 무파 곧 나스티카라 불리는 비정통 철학이다. 여기에 속하는 철학사상으로는 유물론, 불교, 자이나교를 들 수 있다.(p19) <인도 철학 산책> 中
반면, 나스티카의 대표 사상인 불교철학에서는 절대적인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끊임없는 성찰을 통해 업(業 Karma)를 소멸시키는 것을 강조한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자이나교(Jainism) 역시 고행(苦行)을 통한 업(業)의 소멸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무파의 입장에 서 있다고 하겠다.
연기(緣起, Pratityasamutpada : 인간의 심신 心身 일체의 삶이 서로 관련되어 존재한다는 것)적인 삶에 대한 통찰을 통해 얻은 지혜로 고(苦)를 소멸시키는 것이 붇다의 근본적인 가르침이다. 여기에는 브라흐만이나 아트만과 같은 절대적인 존재란 있을 수 없다. 브라흐만이나 아트만과 같은 개념은 연기의 이치를 모르고 고(苦)에 속박된 인간이 상정한 것이며, 따라서 사람들은 연기의 이치를 아는 지혜를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p71) <인도 철학 산책> 中
절대 존재인 '브라흐만'과 '아트만'의 인정 여부에 따라 철학의 유파에 따라 유파(아스티카)와 무파(나스티카)로 나눈다면, 이들을 각각 정(正)과 반(反)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만나는 합(合)의 위치에 있는 것은 '힌두교'라 여겨진다.
힌두교(Hinduism)는 베다 우파니샤드 이래 브라만의 종교전통을 바탕으로 하고 힌두철학을 교리적 근간으로 하여 형성된 종교문화현상이다.(p157)... 힌두교가 지니는 종교적 특성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강력한 포용과 수용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포용력과 수용력은 특히 비슈누(Visunu)신에 대한 신앙에서 더욱 잘 나타난다.(p158)... 불교의 개조인 붓다도 비슈누신의 화신으로 간주되었다. 이것은 종교문화의 형태로 불교를 힌두교 속에 받아들이고 있는 모습이다.(p159) <인도 철학 산책> 中
이처럼 우리는 힌두교 교리 안에 녹아있는 유파(아스티카)와 무파(나스티카)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기에, 힌두교가 인도 종교에 있어 합(合)의 위치에 있다고 해도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 여겨진다. 이렇게 인도 철학을 종합한 힌두교지만, 뒤이어 전파된 이슬람의 영향으로 인도 사회는 또다시 변화하게 되었음을 <인도 철학 산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도 철학 산책>은 인도 철학 입문서라 하기에는 내용적으로 다소 가볍게 느껴겨진다. 때문에, 많은 내용을 이해하려고 하기보다는 인도 철학의 전체적인 틀을 잡기에 좋은 책이라 생각된다.
비록 책의 내용은 가볍지만, 이 안에서 담겨진 인도 철학의 무게는 결코 가볍지 않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는 인도 철학안에 함께 녹아 들어가 있는 동서양 철학 때문이라 생각된다. 예를 들면, 우리는 힌두교 사상안에서 기독교의 삼위일체(三位一體, Trinitas) 교리를 떠올릴 수도 있으며, 동시에 카르마라는 개념을 통해서 동양의 주역(周易)의 순환론적 시간관을 느낄 수 있다. 고대 헬레니즘(Hellenism) 문화권 아래 있으면서 동시에 중국과 교류했던 문화 중심국으로서 인도의 역량을 우리는 철학에서도 확인하게 된다.
[사진] 트리무르티(출처 : 위키백과)
힌두교의 신들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삼위일체(三位一體, Trimurti)로 표현되는 브라흐마(Brahma), 비슈누(Visunu), 쉬바(Siva)이다. 이 중 브라흐마신은 우주의 창조를 담당하며, 비슈누는 우주의 전개와 지속을, 쉬바는 우주의 파괴와 소멸을 담당한다... 불이론(不二論) 베단타의 견해에 따르면, 고차원의 유일 전래의 브라흐만이 저차원의 상대적인 모습으로 드러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곧 신들을 포함해 존재하는 일체의 것들은 절대적인 브라흐만이 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그 본질은 모두 동일한 브라흐만이다.(p158) <인도 철학 산책> 中
또한, 아스티카와 나스티카로 구분되는 인도 전통 철학의 결합과 외래사상인 이슬람교의 대립은 우리나라에서 무속신앙과 불교의 결합과 기독교의 대립 양상을 떠올리게도 한다. 이러한 면에서 본다면 인도 종교사가 우리에게 무의미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인도 철학 산책>을 통해 다음에 읽을 인도 철학의 큰 틀과 몇 가지 물음은 이정도로 정리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