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석강의
다석학회 엮음 / 현암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다석강의>는 다석 유영모 선생의 1956 ~ 1957년 종로 YMCA 강의를 정리한 내용이다. 여기에서 다루는 주제는 크게 <성경>, <법화경>, <대학>, <주역>등 동서양 고전과 선생의 자작시 풀이다.

<다석강의>는 읽기가 쉽지 않은데,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라 생각된다.
먼저, 강의 내에 다양한 분야가 망라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치 `1950년대 도올 김용옥선생`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여러 분야가 한 강의에 녹아 있으니, 이해하는데 많은 내공을 필요로 한다.

[법화경 강의 중]
정불국토(淨佛國土) : 이 세상에 부처나라가 있게 됩니다. 부처나라의 세계는 깨끗하게 됩니다. 유혹의 세계를 깨끗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교식으로 말하면 복음의 세계를 이룩하자는 말이 됩니다. 단지 복음으로써 이 세상을 깨끗하게 하려는 것이 아니겠습니까?(p144)

[성경 강의 중]
˝하나님께서 바라시는 뜻이라면, 선을 행하다가 고난을 받는 것이 악을 행하다가 고난을 받는 것보다 낫습니다.( <베드로전서> 3:17)˝의 말씀으로, ˝정의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면, 여러분은 복이 있습니다. 그들의 위협을 무서워하지 말며, 흔들리지 마십시오.(p200)˝

[대학 강의 중]
˝아주 이상적인 명덕(明德)은 하느님으로부터 덕(德)을 받아 세상에 그 덕을 밝히는 일을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사람마다 반드시 이룩하여야 합니다. 그것을 이루는 그이(君子)가 되고자 해야 합니다. `고지욕명명덕(古之慾明明德)`은 참으로 로고스(Logos)라 하겠습니다.(p437)˝

두번째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선생 특유의 한글 사용이다. 나도 한국사람인데, 한국말을 설명없이는 이해하지 못하는 기이한(?) 체험을 하게 된다.

`남우슴과 들어오름` -> 남에 대해 웃기 좋아하는 못된 버릇이 인간에게 있습니다.
`사픔아 네에민 시쁨 시름 손자 보더냐` -> 시쁨이 시픔(욕망)만큼 실컷 하고 시름 손자를 봅니다.

이러한 두 가지 이유로 책을 읽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특히 여러 말씀 중에서 인상적이었던 몇 구절을 골라본다.

이제는 제사라는 것을 성령으로 (기도하는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p94)
제사를 지낸다는 것은 생전에 계신 것같이 정성으로 정(情)을 표하면 되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정의가 있다` 할 때의 `정의`는 과연 무엇입니까? 사람들은 `내가 정의다` 합니다. 이것이 무슨 정의입니까? `정의가 최후에 승리한다` 합니다만, 국가나 단체가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곧 자기만이 정의니까 최후의 승리를 한다고 할 때 누가 승리한다는 것인지 알 수 없게 됩니다. (p107)

˝바다를 항해하던 중 배가 부서져 가라앉게 되더라도 업무 책임자는 끝까지 기록을 합니다. 죽기 몇 분 전까지라도, 죽기 10분 전이나 20분 점까지도 기록을 해놓고 죽습니다. 이렇게 죽는 사람이야말로 아는 사람입니다.(p194)˝

특히, 인상적이었던 것은 <법화경>이었다. 선생은 <법화경>의 한 이야기와 <누가복음>의 탕자의 비유(15:11~13)에서 공통점을 발견한다. 이야기의 내용은 조금 다르지만, 아버지의 큰 사랑을 말한다는 점에서 <법화경>의 이야기 역시 큰 감동을 주었다.

˝아버지시여, 저는 이것을 바라고 구하는 마음은 없었으나, 이제 보배로운 것이 자연히 왔습니다. 마음이 본래의 생각밖에 없었습니다. 목부와 같은 정신밖에 없었습니다. 마음을 비워 갖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궁하여도 찾을 줄 모르고 높은 뜻을 내지 못하였습니다. 그런데 차차 이렇게 된 것은, 모두가 부처님의 인도로 이 보배가 자연히 나에게 왔기 때문입니다.(p155)˝

예전에 읽었던 <금강경>에서도 `아뇩다라삼막삼보리`가 나올 때,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법화경>에서도 이 구절이 반복되어 나오고, 세존(부처님)께서 설법하셨다는 내용으로 보아 매우 핵심적인 구절로 생각되었다. 기회가 되는대로 그 부분에 대한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또한, `철학`과 `과학`과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선생의 글 속에서 얼마전에 읽은 Russel의 모습과 비교하게 된다.

˝철학은 과학과 특별히 다른게 아닙니다.... 철학은 깨쳐 배우는 것을 말하고 과학은 조목조목 되 배우는 것을 말하는데, 철학은 되넘기는 것이 있으면 안 됩니다..... 제각기 철학을 한다고들 말합니다. 직업적으로 철학을 한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별 게 다 많습니다. 철학사 같은 것이나 외우고 레코드나 틀고 그러다가는 잘못하여 과학도 모르는 철학자가 많이 생길지도 모릅니다.(p506)˝

이렇게 폭넓은 분야를 다룬 선생의 강의 중에서, 나에게 가장 와 닿았던 것은 `원(元), 하나`다. 하나를 통해 전체를 발견하는 선생의 모습. 자신의 길 속에서 보편의 진리를 추구하는 선생의 모습이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그리스도교나 불교나 유교가 길은 죄다 다를지 모르나 (진리는) 하나밖에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니 이보다 더한 즐거움이 어디 있겠습니까? (p51)

석가나 예수나 남이나 나나 다 원(元) `하나` 입니다. 그저 `하나`입니다.....
본래 하나(전체)입니다. 본래 `하나`, 이것이 `성명자성`입니다. 하느님의 존재는 스스로 거룩합니다. `하나`라야 거룩하고, 거룩해야 그리운 것입니다. (p389)

우리말로 동서양 철학을 아우르는 다석선생의 강의를 통해 한층 더 깊은 지혜를 만나게 된 좋은 기회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6-23 00: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겨울호랑이 2016-06-23 07:18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나와같다면님^^ 정말 그렇네요 행복한 독서하시면서 좋은 의견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