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헤로도토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페르시아 전쟁`을 배경으로 씌여진 역사책이다.

앞부분 1권에서 5권까지는 페르시아가 대제국이 되기전 정복한 국가와 부족들 이야기가 주를 이루며, 6권 이후 부터 본격적으로 마라톤 전투, 살라미스 해전 등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책 전체적으로 페르시아가 정벌한 국가 뤼디아(리비아), 메디아, 아이귑토스(이집트), 사모스, 스퀴티스(스키타이족), 마케도니아 등을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페르시아가 얼마나 광대한 제국인가를 보여준 후에, 헬라스(그리스)가 이렇게 대단한 대제국을 물리쳤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구성은 다소 극적이다. 마치 `너 정말 멋진 친구야.`라면서 장점을 한껏 나열한 다음, `근데 내가 너보다 조금 더 나아.` 라는 일종의 자화자찬이라는 느낌을 지울수 없다.

<역사>에서 헤로도토스는 서론 부분에서 `페르시아`와 `헬라스`의 대립이 신화시대부터 이어져 온 것이라는 이야기로 두 세력의 대립에 역사성을 부여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이오`, `에우로페`, `메데이아` 공주 납치 등으로 두 세력은 서로 감정을 키워오다, <일리아스>의 배경으로 유명한 트로이 전쟁으로 인해 트로이아 멸망으로 결국 씻을 수 없는 감정을 남기게 되었다. 신화시대부터 대립해온 두 세력이 다시 전쟁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으로 전쟁의 서막을 알리고, `페르시아 제국의 팽창`으로 화제가 전환된다. 페르시아 제국의 팽창을 서술한 5권까지, 페르시아와 당사국의 전쟁이야기만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이 역사책으로 의미를 가지는 이유 중 하나는 페르시아가 정복한 지역 민족의 풍습, 역사, 종교 등 인문학적 부분부터 지리, 생물학 정보 등 당대에 알려져 있는 사항이 상세하게 기재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다소 지루할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이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세계인식을 자세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의 중요성을 알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헤로도토스가 ˝서양 역사의 아버지˝가 되었다는 사실을 실감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여러 지역의 신(神)들의 비교를 통해, 해당 문명권의 교류를 알 수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그리스 신화의 신들이 다른 지역의 신들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파악할 수 있는데, 가령, `디오니소스`는 이집트의 `오시리스`, `아폴로`는 `호루스`에 해당하는 신으로 서술되어 있어 이들 문명권이 상당 부분의 문화를 공유하며 교류해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6권 이후 ˝페르시아 전쟁˝에 대한 부분은 잘 알고 있다시피 우리에게 고구려와 수/당 두 제국과의 싸움을 연상시키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다만, <역사>에서 나오는 전쟁 묘사는 비극의 발달한 그리스 문화의 특징 때문인지, <삼국사기> 등 우리의 기록보다 훨씬 극적인 표현이 많다.

<역사>는 기본적으로 아테나이가 헬라스의 구원자로서 어떻게 `숙적` 페르시아를 물리쳤는가를 기록한 승자의 기록이다. 그래서, 글 전반에 흐르는 `헬라스인에 대한` 우월감이 표현되어 있고, 이러한 기록을 그리스인이 아닌 한국인이 공감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특히, 역사적 사건 곳곳에 기재된 `신탁`을 통한 당위성 부여는 구약성경의 마카베오 가문의 항쟁을 다룬 <마카베오 상,하>와 공통점이 느껴지지만, `신은 우리 편`이라는 관점은 제 3자 입장에서 다소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E.H 카의 말처럼, 고대 그리스인의 세계관을 우리에게 알려준다는 점과 극적인 서술을 통해 독자들에게 유익함과 재미를 함께 주는 두꺼운 책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