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의 중국일기 3」은 집안에 있는 고구려 유적 답사가 주된 내용이다. 잘 알고 있다시피 집안은 옛 국내성이 위치한 곳으로 많은 고분과 벽화가 위치한 곳이다.

이 책에서는 남쪽 서대묘(미천왕릉으로 추정되는)로부터 북쪽 장천1호분까지 저자가 방문한 유적에 대해 잘 설명되어 있다. 단순한 유물 소개가 아닌, 사상적 문화적 배경을 한국, 중국, 일본 3국에 남아 있는 현존 자료 비교를 통해 잘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책에는 많은 사진과 비교 설명이 되어 있어 고구려 미술의 이해에 대해 많은 도움을 준다. 가령 나의 경우 불교미술에 무지하여 반가좌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몰랐는데, 이 책에 친절하게 `반가좌상`은 해탈 전의 고뇌를 상징으로 나타난 것이며, `결과부좌`는 해탈을 의미한다는 것을 설명해 놓았다. (p182) 그래서, `반가좌사유상`의 진정한 의미에 가까이 갈 수 있었다.`반가사유상`은 해탈 전 싯달타의 고뇌하는 모습이며, 인간적인 모습이라는 것. 이러한 반가사유상이 삼국시대에 많이 발견되는 것을 통해, 현실을 중시하는 당대의 사상적 상황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이제 겨우 배울 수 있었다.

이 외에도,이 책에 많은 고구려 고분과 벽화 사진이 나온다.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도 많은 도움이 되지만, 느껴지는 것도 많았다. 사진을 보노라면 뭉클함이 느껴지지만, 동시에 슬픔도 느껴졌다. 슬픔은 고구려 땅 상실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를 잘 모를데서 오는 슬픔이 더 정확할 것이다. 마치 가문에 있는 선조들의 손때 묻은 책을 보면서도, 한문에 대한 지식이 얕아 책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는 것에서 오는 아쉬움이 보다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이 책을 통해 고구려인과 나 사이에 단절이 있다는 것을 느끼며, 우리가 진정으로 고구려의 후손임을 자랑으로 여긴다면, 우리의 혈통 뿐 아니라 정신에 `고구려`를 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고구려는 제국이었다. 제국은 여러 왕국, 부족 위에 존재하는 정치 권력이다. 그렇다면, 고구려는 한민족 뿐 아니라 여진, 몽골,선비, 거란 심지어는 중국민족인 한족까지도 포괄하는 사회였을 것이다. 이러한 다민족 사회가 700년 가까이 이어간 것을 보면, 고구려는 `포용과 관용`의 나라였음을 발견하게 된다. 고구려 당시 중국 대부분의 시기가 `5호16국`시대로, 분열과 대립하는 중국과는 달리 통일된 공동체로 유지되었음이 이에 대한 반증이라 생각된다.

21세기 한국 사회가 급속하게 다문화사회가 되었다. 도시에서는 잘 모르겠지만, 농촌 지역과 공단 인근에는 많은 외국인 근로자 또는 이주민이 거주한다. 이 지역에 있는 마트에는 `다문화코너` 가 별도로 있을 정도로 이미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한민족이 아닌 한국인`에 대한 우리의 배려는 너무도 미약하다. 또한, 같은 민족이더라도 남한에서 태어나지않은 탈북인과 조선인에 대한 우리의 정서는 어떤 것인지 돌아보게 된다. 우리 사회는 너무도 폐쇄적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우리가 진정으로 고구려 후손이라면 먼저 선조들의 호방함과 포용 등을 우리 속에서 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난 후 선조들의 유산을 다시 봤을 때 그 진정한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