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효경한글역주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9년 7월
평점 :
<孝經>은 나에게 다소 생소한 문헌이었다.
부끄럽게도 13경(經) 중 하나라는 사실도 잘 몰랐다. 이처럼 내게 인지도가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 논의하는 효(孝)는 나에게, 우리에게 너무도 익숙한 개념이기에 선뜻 손이 가지 않은 책이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조선시대을 지배했던 "孝"라는 개념이 어떻게 지배의 이데올로기가 되었는지, 치밀하게 밝히고 있다. 통신수단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국가를 지배하는 통치 이데올로기로 막연한 충(忠)보다, 더 개인에게 와닿는 효(孝)를 강조하였다.
단순히 강조하기만 하면, 외면당할 수 있어서, 일종의 캠페인(campaign)을 벌리게 되는데 그것이 '열녀문'이 전국에 세워지게 된 배경이며, '삼강행실도'가 조선 전국에 보급된 배경이라고 한다. 이렇듯 국가에 대한 "忠"의 축소된 사상으로, 가문에서의 "孝"라는 이념이 어떻게 왜곡되었는지, 우리가 알고 있는 '효'가 어떻게 성립되었는지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효경>에서 말하는 효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효'는 단순히 '자식의 부모에 대한 사랑의 표현'을 넘어선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과 '자식의 부모에 대한 공경과 사랑'의 쌍방적 관계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효경>에서는 말한다.
그리고, 더 나가서 자신의 부모만이 아니라, 천자, 제후, 공경, 대부, 서민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위치에서 다른 이들을 넓게 사랑하는 이념이 <효경>에서 말하는 효의 개념이다.
이러한 효는 결코 위에서 아래로 강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지도자들이 자신의 내면을 효성스럽게 하여 주변을 감화시켜 나갈 때, 사회 전반으로 효가 퍼져 나가게 되고, 효의 진정한으로 실현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효경>의 주요 내용이다.
자식의 부모에 대한 일방적인 효도를 강제하는 것이 아닌 부모-자녀간의 따뜻한 관계그리고, 따뜻한 관계의 자연스러운 사회적 확대를 '효(孝)'라고 할 때, 가정의 달인 5월에 우리의 부모와 우리, 그리고 우리의 자녀와우리와의 관계를 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