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조사 결과가 말하는 바는 뚜렷하다. 중국을 둘러싼 모든 이슈에 정치가 깊숙이 들어왔다는 점이다. 쿠데타 이후 윤석열과 극우세력이 들고나온 혐중 선동의 결과 혹은 ‘반작용‘이라고 풀이할 수있다. 그러므로 이제 한국 사회의 대(對)중국 정책은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해석되고 좌우될 가능성이 높게 됐다. 이것이 공동체에 이로운 일일까? - P13
조사팀이 규정한 ‘혐중 집단‘의 규모는 전체의약 7%였다. 규모가 작은 만큼 전체 평균값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지만, 혐중 집단과 ‘비중 집단‘의 차이가 뚜렷해지는 결과가 나왔다. - P13
반중 정서는 어쩌면 그 자체로 자연스럽다. 여러 분야에서 한국을 추월해 시시각각 경제적·군사적으로 긴장을 불러일으키는 중국에 대한 반감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일일 수도 있다. 문제는 반중을 기치로 혐오 정서를 자양분 삼아 세력을 키우고, 공동체에 해가 되는 정책을 지지하는 집단이 등장했다는 점이다. 그 선두에 선 이가 윤석열이다. - P14
(2030 세대) 나름의 세계관에 밑바탕을 두며, 일관된 논리 구조가 있다. ‘중국은 부국이지만 정치적 수준이 낮은 독재국가다. 한국은 중국과 중국인들에게 직간접적 손해를 입고 있다. 중국이 한국의동맹국인 미국을 꺾을 가능성은 사실상없다. 중국에 반대하는 집회는 표현의 자유영역이다‘ 등이다. - P18
대장동 사건에 대한 검찰의 기소 취지와 주요 혐의에서 무죄가 나온 이번 대장동 일당 1심 판결 결과를 종합하면, 항소는 당연한 수순으로 통했다. 실제 검찰은 일찌감치 1심 판단에 불복해 항소하기로 뜻을 모았다. 그러나 항소 기한 마감직전에 지휘부가 돌연 결정을 번복하면서 항소장은 제출되지 않았다. 무죄로 선고된 내용들을 다시 다뤄볼 기회를 스스로 걷어찬 것이다. - P21
<시사IN>이 입수한 ‘택배분야 사회적 대화기구 1차 실무회의 논의 결과‘ 자료를 보면, 쿠팡 CLS는 밤 12시에서 새벽5시까지 배송을 중단하자는 택배노조의 제안에 대해 "배송 시간 부족으로 인한기사 과로 위험 증가"를 이유로 "수용 불가"하다고 답했다. 새벽배송 품목 제한도 "소비자의 수요가 다양하여 수용 불가"하다고 했다. - P27
구본창 소장은 "학령인구가 매년 급격히 줄어드는 상황에서 사교육 시장이 손익분기점을 맞추려면 물리적 시간을 트는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에까지 와 있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그런 상황에서 이번 사안은 정말 중요한 ‘선택‘이 맞다. "경쟁에 용이한 구조를 청소년에게 만들어줄 것인지, 과열된 경쟁을 조금이라도 완화시킬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우리가 후자에 방점을 찍는다면, 이번 조례 개정안은 ‘입시 경쟁을 줄이고 아동청소년의 행복추구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시대정신에서 퇴행한 결정이다." - P29
대통령실은 서울 내 주택공급을 ‘국가적 사안으로 여기고, 야당은 주택공급을 명분으로 정부를 비판한다. 부동산을 두고 펼쳐지는 정치권의 기묘한 대치 국면은 대중의 수요, 즉 ‘자산가치가 보전되는 서울 주택을 보유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만들어낸 풍경이다. - P33
이미 인공지능에 의한 혁명이 진행중이라면, 가장 시급한 일은 인공지능에게 어떤 윤리를 학습시킬 것인가를 정하는 데 있다. 그러지 못하면 인공지능이 바꿀 우리 모든 삶의 영역이 전대미문의 위기를 맞게 될 것이다. - P41
한반도 상황은 과거와 180도 다르게 전개되고 있다. 이 변화의 배경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자리 잡고 있다. 첫째, 북한의 통일 전략 변화다. 북한은 남과 북을 ‘교전 중인 두 개의 적대국가라고 규정했다. 분단 이후 천명해온 통일 지향성을 포기한 것이다. 남북 사이에 직접 대화가 당분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둘째, 미국의 대북 접근 태도 변화이다. 한반도 분단 이후 처음으로 미국 대통령이 북한 지도자에 대해 "호감을 갖고 만나보고 싶다"는 발언을 공개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 미국 지도자들과 완전히 다른 행보다. - P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