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닷없이 예전 콩브레 시절 이후로는 느껴보지 못했던 바로 그 지고한 희열감이 나를 엄습해 왔다. 마르탱빌 종탑을 보면서 느꼈던 바로 그 희열이었다. 하지만 그때의 희열감은 과거와는 다른 점이 있었다. 나는 세 그루 소나무가 서 있는 광경을 보았는데, 그 너머로는 숲으로 덮인 작은 오솔길이 나 있었다. 그 광경을 보면서 언젠가 이미 보았던 광경이라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 과연 그와 똑같은 광경을 예전에 어디서 보았을까 하고 아무리 생각해 봐도 해답을 얻을 수 없었지만, 언젠가 틀림없이 본 광경이란 느낌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저 소나무들을 대체 어디서 봤단 말인가. 콩브레엔 오솔길이 저런 식으로 나 있는 경우가 없는데... 마차가 갈림길에 이르자 그 광경은 곧 시야에서 사라졌다. 그와 동시에, 세상에서 유일하게 진실한 듯이 보이는 그 감정, 나를 진정으로 행복감에 휩싸이게 한 바로 그 순간으로부터 멀어져 버렸다. 멀리 떠나가는 마차는 마치 내 인생이 그러하다는 느낌을 주었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2권 中


 화자는 예전 콩브레에서 마르탱빌 종탑을 보면서 지고한 희열감을 느꼈다. 반면, 세 그루 소나무가 서 있던 광경을 보면서는 익숙함 이외의 다른 의미를 찾지 못한다. 콩브레의 오솔길과 차이점 이외에는. 마차가 갈림길에 이르기까지 의미를 찾지 못한 화자는 지고한 희열감도 함께 놓친다. 개인적으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2>에서 가장 인상 깊은 위의 장면에서 다음 칸트의 유명한 명제를 떠올린다면 다소 엉뚱해 보인다. 이번 페이퍼는 이 뜬금없는 결론에 대한 이야기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화자가 왜 '마르탱빌'에서는 성공하고 '세 그루 소나무'에서는 실패했는지를 밝혀주는 가장 예리한 열쇠이기도 하다.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고, 직관 없는 개념은 공허하다." (Sensation without concept is blind, concept without sensation is empty.)


 화자가 위디메닐로 가면서 마차가 갈림길에 이르기까지 고민을 거듭한다. 만약 화자가 콩브레에서의 갈림길이 게르망트 쪽과 메제글리즈 쪽으로 향하고 있었음을 기억한다면, 위디메닐에서의 갈림길이 이와 다르지 않았음을 알아챌 수 있지 않았을까. 갈림길에서의 유사성으로부터 데자뷰를 느꼈다면, 우리는 게르망트와 메제글리즈로 난 길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앞선 페이퍼에서 게르망트 쪽(영속)과 메제글리즈 쪽(감각)으로 규정했었던 결론을 가져온다면, 이번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감각적인 메제그리즈 쪽을 이번에는 직관/경험으로, 영속적인 게르망트 쪽을 개념/지성으로 대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영속성'을 추구하는 행위 자체가, 덧없이 스러지는 '감각(직관)'에 '형식(개념)'과 '의미(지성)'를 부여하려는 이성적 작업이기 때문이다. 


이전 페이퍼 : 감각의 향연 https://blog.aladin.co.kr/winter_tiger?CommunityType=AllView&page=2&cnt=4060


 다시 칸트의 명제로 돌아가서 직관과 개념에 각각 메제글리즈와 게르망트를 대입시키면 다음과 같이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로부터 우리는 화자가 알지 못했던 마르탱빌 종탑에서 느꼈던 희열이, 세 그루 소나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는지 알 수 있다.

 

"개념 없는 메제글리즈 쪽은 맹목적이고, 직관 없는 게르망트 쪽은 공허하다." 


 화자는 마르탱빌 종탑에서 느꼈던 감각을 글쓰기를 통해 해석하고 번역하는 데 성공하면서 희열을 느낄 수 있었지만, 세 그루 소나무에서는 감각을 인식하는 데 그쳤고, 이를 예술적으로 승화시키지 못했다. 그 결과 감각은 예술적 승화에 실패하고 멀리 떠나가버린 것이 아닐까. 결국 프루스트(화자)에게 예술로 가는 길은 메제그리즈와 게르망트로 가는 변증법적 종합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작품 안에서 끊임없이 양 쪽을 방황하는 화자의 모습은 여러 모습으로 변주되며 재현된다. 오데트에 대한 스완의 사랑은 알베르틴에 대한 화자의 사랑으로 재현되지만, 스완에게 뱅퇴유의 소나타가 고통으로의 회귀를 이끄는 예술이었다면, 화자에게 뱅퇴유의 소나타는 보다 높은 예술로 이끄는 동력이라는 점에서 같지만 다른 변주다.


 화자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전반을 통해 '예술'이라는 이데아를 찾는다. 그렇지만, 그것은 결코 감각적인 현실과 유리된 이데아가 아니다. 현실을 딛고 이상을 추구해야 하며, 순간으로부터 영원을 끌어내야 하고, 법칙을 다시 일상으로 풀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는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 안의 인물처럼 동굴 밖을 나가 태양을 보고 다시 동굴 안으로 돌아와야 한다. 그리고 이 장면은 <되찾은 시간>에서 게르망트 공작의 파티를 통해 재현된다. 오랜만에 다시 찾은 게르망트의 살롱, 그곳에서 화자는 시간에 의해 끔찍하게 일그러지고 늙어버린 '그림자' 이자 '유령'들이다. 화자는 그들을 더 이상 알아보지 못하지만, 파티에 들어서기 전 '불균형한 보도블록', '찻잔 소리', '별처럼 빛나는 냅킨' 등을 통해 마르탱빌 종탑에서와 같은 희열을 다시 엿보면서 '진실'을 직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은 바로 예술의 '변증법적 종합'이 이루어지는 순간이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되찾은 시간>의 리뷰에서 정리하기로 하자. 결국, 앞서 말한 한 단락은 메제글리즈를 거쳐 게르망트에 이르는 프루스트 예술론의 변증법적 종합을 그렸다는 점에서 매우 인상 깊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