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소리의 보도 행적을 두고는 극명히 다른 평가가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판하는 측에서는 이들의 보도를 높이 평가하는 반면, 정부·여당 측에서는
"극단적 악의적 세력(10월7일 한동훈 대표)"이라고 비판한다. 정치적 입장을 떠나서도 평가가 갈린다. 미디어 전문가들사이에서도 "저널리즘이라고 보기 어렵다"라는 부정적 입장이 있는 한편, "사회적 비판을 감수하고 보도를 하겠다는 판단은 존중할 수밖에 없다"라는 유보적 평가도 공존한다. - P24

"북한도 충돌은 원하지 않고 있다. 각자도생, 자기의 길을가고 싶은 거다. 본래 전쟁 중에도 상대방과 대화 채널을 구축하는 법인데, 지금은 양측이 서로 전혀 의도를 교환하지 못하고 있다. 남북 당국 간에 핫채널을 긴급히 구축해 이 문제가 무력 충돌로 이어지지 않도록 상황 관리를 해야 한다."  - P28

"청년들이 지역에 원하는일자리가 부족해서 서울로 이직하는데, 정작 불안정성이 크고 처우가 좋지 않은 일자리로 옮겨갔음을 고용보험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부가 이런 자료를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위계 구조에 개입하고, 지역에서도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에 취업하며 재능을 쏟으면 그에 맞는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 중앙정부도 제 역할을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P35

웨스팅하우스에서 여러 해 근무한 이력이 있는 핵공학자 서균렬 서울대 명예•교수는 올해 6월 펴낸 책 <서균렬 교수의 인문학>에서 "핵은 사양길에 접어들었다"라고 말했다. 사용후 핵연료 처리 문제 등을 감안하면 원전의 경제성은 크게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이렇게 지적한다. "핵 찬성론자들은 핵 시설을 폐기하면 투자가 줄고 자기들 권력이없어질 걸 염려합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핵 폐기물 관리를 위한 투자가 이루어질겁니다. 원전을 안 짓는다고 해서 원자력공학과가 없어지는 건 아닙니다."  - P40

산업 필수재인데, 생산 과정에서 폐기물을 처리하고 원료 특성상 운반비가 많이 들며 비수도권 지역 거점 산업이다. 이런 시멘트업계의 특성은 ‘수입 시멘트반대‘에 대한 반발에 정당성을 실어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멘트업계의 이러한
‘꽃놀이패‘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자원순환 생태계의 포식자가 되었고, 가격 협상력이 강화되었으며, 설비투자에 따른 장기적 이익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수입 시멘트 논란은 이러한 시멘트 산업의 다층적인 측면을 고민하게 한다. - P45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10-20 23: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10-21 08: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10-21 10: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10-21 17:4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