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역과 분쟁 2 - 교류의 증대와 종교의 확산 케임브리지 세계사 10
벤야민 케다르.메리 위스너-행크스 외 엮음, 류충기 옮김 / 소와당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축의 시대 전통은 세속의 질서와 초월적 질서의 분리를 제도화했다. 이러한 제도화는 새로운 유형의 사회 엘리트, 즉 기존에 확립된 정치 엘리트를 견제하고 그들의 권위에 도전하는 영적 리더십의 등장으로 대표된다. 새로운 영적 엘리트는 도덕적 차원을 강조하며 과거 정치 엘리트를 견제했고 그들의 책임성을 요구했다. 그들이 지식, 관념, 이상, 도덕의 세계에 새로운 질서를 부여했으며, 이는 정치/사회적 차원에서도 질서의 재편으로 이어졌다. 그것이 새로운 정치 체제로 구체화되었는데, 바로 제국 시스템이었다. _ 벤야민 케다르, 메리 위스너-행크스, <교역과 분쟁 2>, p498


 케임브리지 세계사 10권 <교역과 분쟁 2 : 교류의 증대와 종교의 확산>은 CE 500 ~ 1500을 배경으로 한다. 이 시대는 과거 농경(農耕)의 필요에 따라 만들어진 중앙집권체제와 국가(國家)를 넘어선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요구했다. 높아진 생산성과 인구의 증가에 따라 국가의 자급 능력 대신 교역 능력이 보다 중요해졌으며, 이 과정에서 권력의 중심은 기존 전사(戰士), 선비(士)와 같은 정치 엘리트 대신 종교와 철학을 쥔 영적 엘리트에게로 이전된다. 이제 야스퍼스가 말한 '축(軸)의 시대'의 개화되면서 이제 제국(帝國)의 시대로 넘어간다.


 지역 사회는 저마다 서로 달랐지만, 근원적인 유사성 덕분에 무언가를 함께할 수 있었고 실질적 교류도 가능했다. 생산량의 증가는 지역 차원이나 원거리 차원에서 시장, 도시, 무역을 촉진했다. 그에 따라 더 많은 수공업품이 발달했고, 공간적으로나 사회 지위 측면에서도 사람들이 더 많이 이동하고 섞이게 되었으며, 일상 용품뿐만 아니라 사치품까지 상품의 이동도 활발해졌다. 무역과 함께 종교의 확산, 정복 등은 "원시-글로벌화"의 대표적 동력이었다.  _ 벤야민 케다르, 메리 위스너-행크스, <교역과 분쟁 2>, p505


 이 시기에 형성된 몽골제국은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거대한 시대적 흐름의 산물이었다. 비참하게 쫓기던 어린 테무친이 여러 역경을 이겨내고 몽골 부족을 통합하여 칭기즈칸이 되었지만, 만약 그의 방향성이 색목인들의 이해관계과 맞지 않았다면 세계제국이 성립될 수 있었을까? 케임브리지 세계사 <교역과 분쟁 2>는 세계제국이라는 역사의 이정표가 세워질 수밖에 없었던 배경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