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비너스 b판고전 14
피에르 루이 모로 드 모페르튀 지음, 이충훈 옮김 / 비(도서출판b)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명의 형성과정을 어떤 방식으로 설명해볼까? 인간이 깃드는 최초의 장소를 어떤 방식으로 묘사해볼까? 어떻게 그 황홀한 공간이 어두운 감옥으로 변해, 형태도 갖추지 못하고 눈으로 볼 수도 없는 태아가 그곳에 머무르게 되는 것일까? 어떻게 그토록 큰 쾌락을 만들어준 것이, 그토록 완전한 존재가 처음에는 그저 살과 피뿐이었을까? _ 피에르 루이 모로 드 모페르튀, <자연의 비너스>, p21


 생명의 근원과 종(種)의 다양성에 관한 모페르튀의 <자연의 비너스>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만 보자면 별다른 내용이 없는 책이다. 세포, 유전자, 단백질 등에 대한 개념없이 정자와 난자의 결합으로 생명이 태어난다는 사실과 경험만으로 생명에 대한 물음에 답한다는 것이 얼마나 한정적일 수밖에 없는가를 보여주기에 이 책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지식은 많지 않다. 


 태아의 나머지 부분은 나날이 다양한 단계를 거치면서 성장한다. 태아가 결국 세상에 태어날 순간이 오면, 그것은 자기를 감쌌던 막을 찢고, 태반이 자궁에서 떨어져 나오면서, 세상에 나오게 된다. 동물의 암컷은 태아와 태반을 이어주었던 혈관끈인 탯줄을 자기 입으로 끊어내면서 더는 불필요해진 관계를 끝낸다. 그리고는 산파가 탯줄을 동여맨 뒤 잘라낸다. 이상이 하비의 관찰이다. _ 피에르 루이 모로 드 모페르튀, <자연의 비너스>, p54


 이러한 내용상의 명확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연의 비너스>가 담고 있는 내용의 무게는 결코 가볍지 않다. 아직 종교(宗敎)의 권위가 과학(科學)을 압도하던 시대에 신(神)이 정한 질서와 인간에게 주어진 의지(意志)의 관계에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아직 발견되지 않는 미지의 부분에 대한 생각은 경험적 사실로부터 도출된 가설(hypothesis)을 보여준다. 현실을 설명하는 가설과 이를 증명하기 위한 여러 노력.  이같은 과정 속에서 권위는 무너졌고, 근대(Moern)라는 새로운 시대가 열렸음을 <자연의 비너스>는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책의 의의를 찾게 된다...


 동물은 본능을 가졌기 때문에 자기에게 적합한 것은 구하고 자기에게 해로운 것은 피하게 되는데, 동물을 이루는 가장 작은 부분들도 이러한 본능을 갖는 것은 아닐까? 이 본능이 정액을 이루는 부분들 속에 흩어져 있고, 동물 전체보다 각 부분에서 강하기가 덜할지라도, 이들 부분이 필요로 하는 결합을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을까?... 죽고 난 뒤에도 이 부분은 살아남는 것이 아닐까? 그 부분으로 인해 동일한 종의 동물만이 만들어지는 것일까? 아니면 그 부분과 결합하는 모든 부분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가능한 모든 종이 만들어지는 것일까? _ 피에르 루이 모로 드 모페르튀, <자연의 비너스>,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