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는 프레임 - 진보적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방법
조지 레이코프.엘리자베스 웨흘링 지음, 나익주 옮김 / 생각정원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민주주의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 가운데 하나는 보수주의자들이 진보주의자들보다 더 효율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자신들의 심오한 가치를 전달한다는 점이다. 진보주의자는 자신들 고유의 가치가 보편적 가치라고 가정하며, 나아가 자신들이 해야 할 일은 사실을 제시하고 이러한 보편적 가치를 지원하는 정책을 제안하는 것뿐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가치는 보편적이지 않다. _ 조지 레이코프, 엘리자베스 웨홀링, <이기는 프레임>, p86

가치를 제시하는 보수주의자와 정책을 제시하는 진보주의자. <이기는 프레임>에서 저자들은 보수주의자의 언어로 말하는 진보주의자의 문제를 지적한다. 사용하는 언어에 담긴 서로 다른 가치는 결코 맞닿을 수 없는 평행선의 출발점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가치가 담긴 언어를 사용하면서 결국 프레임 싸움에서 무너지고 만다는 것이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를 비롯한 '프레임'관련 책들의공통된 내용이다.

진보와 보수 사이에는 수많은 스펙트럼이 존재하고, 스펙트럼만큼의 색깔과 다른 결들이 존재한다. 검은 색과 흰 색 사이에 놓여진 서로 다른 명암의 회색들을 정의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여기에 더해 사람들은 사회 이슈에 따라 또다른 색을 갖는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공론장에서 다른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서로 다른 점을 인정하고 합의점을 끌어낼 수 있다면 좋겠지만, 현대 민주주의는 공론장에서의 담론 대신 각자 자신의 귀를 막고 각자의 언어로 목소리를 높이며 표대결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아도르노가 <계몽의 변증법>에서 '오뒷세우스와 세이렌' 신화를 통해 말한 '인간소외'는 경제학에 한정된 문제는 아닌 듯하다. 귀를 막고 노를 저어야 하는 오뒷세우스의 부하들이 자본의 명령을 받으며 자신의 생산물로부터 소외되었듯, 오늘날 우리들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명령에 충실하면서 선거라는 정치적 행위의 결과로부터 소외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기는 프레임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신념이 보다 보편적으로 관철되는 것도 좋겠지만, 그 이전에 공론화된 장에서 싸우지 않고 합의를 통해 파레토 최적점에 이르는 길은 없는 것인지를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