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포터의 국가 경쟁우위 -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전략 21세기북스 경제경영 클래식 시리즈 5
마이클 포터 지음, 문휘창 옮김 / 21세기북스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생산성은 국가의 장기적인 생활수준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이며, 1인당 국민소득을 결정하는 근원이다. 인적자원의 생산성은 그들의 임금을 결정하고, 자본의  생산성은 자본의 보유자가 얻는 수익을 결정한다. 높은 생산성은 높은 소득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긴 노동시간 대신 더 많은 여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금의 원천인 국민소득을 창출하고, 징수한 세금을 공공사업에 사용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킨다. 높은 생산성은 기업들이 엄격한 사회기준을 충족시키도록 하고, 이것은 건강과 안전, 기회균등 그리고 환경적 영향 등 국민의 생활수준을 높인다. 국가 차원에서 경쟁력의 유일한 의미 있는 개념은 국가의 생산성이다. _ 마이클 포터, <마이클 포터의 국가 경쟁우위>, p43


 마이클 포터(Michael E. Porter)의 <국가 경쟁우위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는 생산성(生産性, productivity)에 대한 논의로 요약된다. 사실 생산성은 포터의 3부작의 공통된 주제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가?'에서 주체는 기업이며, 기업의 생산성과 연계된 5가지 요인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원가우위'와 '차별화'는 여전히 주요한 두 가지 전략이다. 다만, <마이클 포터의 국가 경쟁우위>가 전작들과 갖는 차이점은 이러한 논의가 '기업-국가'로 확대된다는 점에 있으며, 확장된 주제는 산업 클러스터에 의한 효율적인 자원의 결합에 있다.


 전체적인 산업 클러스터의 존재는 국가 경쟁자 그룹이 있는 곳에 나타는 요소창출 과정을 촉진한다. 상호연결된 전체 산업 그룹에서 기인한 기업들 모두는 전문적이지만 관련된 기술, 정보, 인프라, 인적자원에 투자하며, 그 결과 수많은 파급효과를 낳는다. 전체 클러스터의 규모는 더 큰 투자와 더 높은 전문성을 촉진한다. 서로 다른 산업들에서 온 기업들을 포한한 관련 업종 단체들과의 공동 프로젝트가 일반적이다. 정부와 대학의 관심은 높아진다. 인재를 클러스터로 유인하는 힘과 명성은 갈수록 강해진다. 이 분야에서 국가의 국제적인 명성은 갈수록 높아진다. _ 마이클 포터, <마이클 포터의 국가 경쟁우위>, p239


 산업클러스터를 통한 기업들의 밀집은 내부경쟁을 격화시켜 해당 산업에 대한 국제적인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전/후방 산업과의 통합과 연계, 전력, 교통, 물류 등 제반 인프라의 효율적 결합을 가능케 하여 원가절감과 차별화를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국가 전략은 분명 중요하지만, 포터에게 있어 생산성의 중심은 분명 기업에 있다. 기업 중심의 생산성 향상.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국가의 서비스 제공. 이러한 큰 틀에서 저자는 세부적으로 국가 간 산업전략 컨설팅을 본문에서 상세히 펼쳐진다. 


 <마이클 포터의 국가 경쟁우위>에는 1980년대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대표하는 10여개국이 분석대상으로 포함되고, NICS의 일원으로서 우리나라 또한 분석 대상에 포함된다. 본문에서는 1980년대 일본을 모방하는 개발도상국으로서 한국의 상황과 전략이 제시된다. 이같은 관점이 30여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여전히 유효한 것은 분명 아니지만, '기업-국가'를 바라보는 관점과 그 틀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


 과감한 금융완화와 재정지출 확대를 통해 엔화 약세를 의도하고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의도한 아베노믹스. 의도적인 엔화 약세 정책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자 한 국가의 노력이 선명하게 보여진 정책이었지만, 아베노믹스의 한계는 '국가 경쟁력'에 있어 국가(정부) 역할의 한계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부분이라 여겨진다. 그렇다면, 기업을 주체로 한 시장의 힘에 맡겨야 하는가?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의 페이퍼로 정리해보려한다....


 기업 전략은 지속적으로 진화해야 한다. 비관련 다각화의 유혹은 저항하기 힘들다. 기업들과 국가경제가 반영하려면 기업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그들의 지배구조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투자자들과 더불어 제 기능을 다하는 자본시장이 창출되고 육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많은 국가들에서 자본시장의 효율성 증가는 기업들에 대한 투자비율이 감소되는 역설적인 위험을 수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정책은 보다 발전된 경제의 토대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해야 한다. 그러나 정책의 발전은 이전에 만들어진 규칙 아래서 번영해온 특수관계자들과 정치적인 압력에 의해 불가피하게 지연된다. _ 마이클 포터, <마이클 포터의 국가 경쟁우위>, p1011

문제는 바로 ‘한 국가가 어떻게 해서 특정 산업의 기업들이 외국 경쟁기업들보다 더 빨리 개선하고 혁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가‘ 하는 것이다. 정태적 경쟁 관점에서 볼때, 한 국가의 생산요소는 고정되어 있다. 기업들은 수익률이 가장 높은 산업에 생산요소를 배치한다. 실제 경제에서의 중요한 특징은 혁신과 변화다. 수익률이 가장 높은 곳으로 수동적으로 자원을 이동하는 대신, 실제로 기업들이 어떻게 신제품과 신공정을 통해 수익을 증가시키느냐가 정말 중요한 것이다.... 생산요소의 고정된 풀(pool)을 배치하는 대신, 기업들이 어떻게 제약조건을 변화시키고 경쟁우위를 확보하느냐가 문제다. - P63

대부분의 산업에서 한 국가가 성공하게 되는 것은 그 국가가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일부 우위들을 하나의 특정 산업 또는 작은 산업 그룹에 특화된 우위들과 결합시켰기 때문이다(p233)... 한두 가지 결정요소의 열위가 한 국가의 경쟁우위 획득을 반드시 저해하는 것은 아닌 반면, 가장 강력한 경쟁우위는 많은 결정요소에 퍼져 있는 자기강화적인 우위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 경향이 있다. - P234

국가의 경쟁우위는 끊임없이 향상하고 혁신하는 기업들의 역량으로부터 성장한다. 결국 오래된 우위들은 다른 국가의 기업들에 의해 모방되거나 쓸모없게 된다. 정적이고, 단기적 비용우위를 가져오며, 무의식적으로 혁신과 활력을 손상시키는 정책들은 산업에 대한 정부정책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가장 심각한 오류를 대표한다. - P8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