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통행로 / 사유이미지 발터 벤야민 선집 1
발터 벤야민 지음, 최성만 외 옮김 / 길(도서출판)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평이란 적당한 거리 두기이다. 비평은 관점과 전망이 중요하고 입장을 취하는 것이 아직 가능했던 세계에 터전을 둔다. 그동안 사물들은 너무나 뜨겁게 인간사회에 밀착되어버렸다. 이제 '선입견 없는 공평함'과 '자유로운 시선'은 단순한 무능함을 드러내는 순진하기 짝이 없는 표현이 아니라면, 거짓말이 되어버렸다. _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p138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의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Einbahnstraße / Denkbilder>의 여러 글 안에서 문학과 벤야민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다. 자신의 생각을 넘어서는 것을 말하지 않는 작가. 그의 글쓰기와 실천이 일치하는 문학. 이처럼 작가의 생각과 말과 행동이 삼위 일체가 되었을 때 비로소 성공한 문학이 태어나게 된다.


 삶을 구성하는 힘은 현재에는 확신(Uberzeugungen)보다는 '사실'(Fakten, 事實)에 훨씬 더 가까이 있다. 한 번도, 그 어느 곳에서도 어떤 확신을 뒷받침한 적이 없었던 '사실' 말이다. 문학이 중요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오직 실천과 글쓰기가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 뿐이다. _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p69


 훌륭한 작가는 자기가 생각하는 것 이상을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점은 대단히 중요하다. 말한다는 것은 생각하기의 표현인 것만이 아니라 생각하기의 실현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걸어간다는 것이 어떤 목표에 도달하고자 하는 소망의 표현인 것만이 아니라 그 소망의 실현인 것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그 실현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 즉 그 실현이 목표에 정확하게 합당한 실현이 되는지, 아니면 탐욕스럽고 흐리멍덩하게 소망에 자신을 탕진하는지는 길을 가고 있는 자의 훈련 여부에 달려 있다. _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p238


 그렇지만, 위대한 작품은 단일한 것이 아니다. 여성성에 의해 완성되고 죽음을 맞이한 뒤 내부로부터 일어나는 남성성에 의해서 새롭게 태어나는 이미지. 여성과 남성의 양면적 이미지가 생성과 죽음으로 작품 내부에서 얽혀 있다. 서로 상반된 것들의 얽힘. 그것은 작품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사물에 내재하는 대립적 요소들은 미묘하게 결합되어 떨림으로 우리에게 포착될 수 없는 움직임으로 다가온다.


 종종 사람들은 위대한 작품들의 생성을 탄생의 이미지 속에서 생각해왔다. 이 이미지는 변증법적 이미지다. 즉 그 이미지는 그 과정을 두 가지 면으로 포괄한다. 한 면은 창조적 수태와 관계가 있고 천재적 정신(Genius) 속의 여성적인 것에 해당한다. 이 여성적인 것은 완성과 함께 소진한다. 그 여성적인 것은 작품을 탄생시키고, 그런 뒤 사멸한다... 이 작품의 완성은 어떤 죽은 것이 아니다. 그 완성은 외부에서 도달할 수 없다. 그 완성은 작품 자체의 내부에서 일어난다. 이 창조는 완성 안에서 창조자를 새로이 잉태한다. 그 창조는 수태되었던 여성성에 따라서가 아니라 그 창조자의 남성적 요소에서 잉태한다. 축복 속에서 그 창조자는 자연을 추월한다. _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p242


 어떤 마을이나 도시를 처음 볼 때 그 모습이 형언할 수 없고 재현불가능하게 보이는 까닭은, 그 풍경 속에 멂이 가까움과 아주 희한하게 결합하여 공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습관이 작동하지 않은 것이다. _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p120


 

 재현불가능한 대립적인 양극을 우리는 어떻게 인식할 수 있을까. 벤야민은 그것을 고대의 '도취'에서 발견한다. 서로 대립되는 양극을 함께 확신시킬 수 있는 경험. 도취를 통해 상반되는 요소를 함께 확인하고 상상력을 통해 이들에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은 문학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우리 삶에서 그 의미를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를 생각하게 된다. 역자는 <일방통행로> 안에 벤야민의 중/후기 사유의 모티프가 응축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그의 넓은 사유를 리뷰 안에 담기에는 한없이 부족하지만 두 손에 담을 수 있을만큼만 일단 건져본다... 


 모든 인식에는 미량이나마 부조리함이 내포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달리 말하면, 인식에서 인식으로 진행하는 일이 결정적인 것이 아니라 각각의 인식 자체 내에서 비약이 결정적이라는 뜻이다. 이 비약이 바로 인식이라는 것을 천편일률적으로 조제되는 모든 상품계열로부터 구별시켜주는 진정한 표지이다. _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p220


 고대 사람들이 우주와 관계 맺는 방식은 달랐다. 그들은 어떤 도취 상태에서 우주를 경험했던 것이다. 도취야말로 우리가 가장 가까이에 있는 것, 그리고 가장 멀리 있는 것을 스스로에게 확신시킬 수 있는 경험인 것이다. 그리고 가장 가까이에 있는 것과 가장 멀리 있는 것은 항상 함께 확인된다. 그 중 하나가 없다면 다른 하나는 결코 확인되지 않는다. 이 말은 취합의 상태에서 우주와 소통하는 일은 반드시 공동체 안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_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p163


 상상력이란 무한히 작은 것 속으로 파고들어갈 줄 아는 능력이고, 모든 집약된 것 속으로도 새로운, 압축된 내용을 풍부하게 부여할 줄 아는 능력이다. 요컨대 상상력은 어떤 이미지든 접어놓은 부채로 여길 줄 아는 능력, 그 부채가 펼쳐져야 비로소 숨을 쉬게 되고 또 새로이 펼쳐진 그 폭에서 사랑하는 사람의 특성들을 내부에서 연출해 보이는 그러한 능력이다. _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p116

꿈들이 무의식적인 정신적인 것에 대한 상징들로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글자 그대로, 그리고 대상적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꿈의 층위가 인식과 관계를 맺게 되는 것은, 그 꿈들이 이제껏 묻혀 있던 진리의 어떤 측면을 드러내주는가 하는 점을 서술형식을 통해 포착하려고 한다는 점에서이다... 꿈은 규율 받지 않은 경험의 매개체가 되며 딱딱하게 굳어버린 사유의 각질 표면에 맞서는 인식의 원천이 된다. 성찰은 작용하지 못하도록 일부러 멀리 떨어뜨려놓고, 사물들은 섬광이 비치는 순간 보이는 모습 그대로 내버려둔다. - P53

모든 명성은 약속한 것을 이행하는데, 어떤 신탁도 명성이 갖는 노회(老獪)함을 따라가지 못한다. 불후의 명성을 가진 자는 오벨리스크처럼 서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불후의 명성을 가진 자는 자신 주변에 거세게 일렁이는 정신적 교통을 통제하지만, 오벨리스크에 새겨진 비문은 아무에게도 쓸모가 없는 것이다. - P108

도장이 찍힌 우표만 모으는 수집가가 있다는 걸 우리는 안다. 크게 잘못 말하는 게 아니라면 그들이야말로 비밀의 기미를 알아챈 유일한 사람들일 것이다. 그들은 우표의 제의적 부분, 즉 도장을 중요시 여긴다. 왜냐하면 도장은 우표의 어두운 이면이기 때문이다. - P1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