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의 『성찰』 입문
리처드 프랭크스 지음, 김성호 옮김 / 서광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찰>의 전체 구조는 우리가 세계를 우리의 내부로부터 인식한다는 믿음을 은연중에 드러낸다. 코기토를 통해 나는 내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한다는 것에 더해 나 자신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곧 나는 나의 특수한 특성이나 내력이 아니라 사고하는 존재, 한 개인 그리고 자아임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된다. 그리고 데카르트는 나 자신의 존재에 대한 이런 이해에 기초해 다른 사람들에 대한 관념과 물질적 사물에 대한 관념을 형성할 수 있다고 말한다. _ 리처드 프랭크스, <데카르트의 성찰 입문>, p188

리처드 프랭크스 (Richard Francks)의 <데카르트의 성찰 입문 Descartes’ Meditations>은 6개의 성찰로 이루어진 데카르트( Rene Descartes, 1596~1650)의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에 대한 입문서이며 해설서다. 저자는 이를 통해 데카르트의 주장을 설명하면서 때로는 비판하기도, 때로는 옹호하면서 데카르트 철학의 현대적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그리고, 독자들은 이를 통해 기계론적 인간관, 이원론, 환원주의 등 현대 과학 사상의 뿌리를 발견하게 된다.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이 올바른 일인 까닭은 단지 우리를 진리에 이르게 하기 때문이 아니라 이를 통해 동시에 신의 창조를 더욱 잘 인식하게 함으로써 신을 제대로 숭배하게 만들고, 신이 순전히 지적으로 창조한 세계를 나 자신의 소박한 방식으로 이해하도록 인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감각이 일으키는 혼란을 넘어서서 나의 자유의지를 사용함으로써 나의 도덕적 의무를 다한다. _ 리처드 프랭크스, <데카르트의 성찰 입문>, p235

<성찰>에는 유명한 코기토(cogito ero sum) 명제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지만, 해당 내용은 제2성찰에 포함되며, 데카르트 논의의 확장에 한 축이 되는데, <데카르트의 성찰 입문>가 보여주는 전체 구조 속에서 독자들은 데카르트의 회의주의가 거부할 수 없는 제1명제를 찾기 위해 자신의 내부로 들어가 존재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다시 외부로 나가는 흐름을 파악하게 된다. 다만, 여기서 우리가 놓치지 말하야 할 점은 <성찰>에서의 신(神)의 존재다.

<성찰>은 상당히 이중적인 성격을 지닌 저술이다. 한편으로 모든 것을 회의하는 사고하는 자가 진지하고 개방적인 태도로 탐구를 진행해나가는 방식도 그렇고, 다른 한편으로 더욱 깊은 수준에서 사실은 교회 권위자들이 믿는 바 대부분을 무너뜨리려 하면서도 저술 자체는 그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애쓰는 점에서도 그렇다. 이에 비추어 보면 <성찰>에서 신이 담당하는 역할 또한 일종의 가장이 아닌가? _ 리처드 프랭크스, <데카르트의 성찰 입문>, p216

데카르트가 의심할 수 없는 자신의 존재로부터 외부로 논의로 확장할 수 있다면 그 근거는 무엇일까? 제1성찰의 가정처럼 데카르트 자신이 꿈 속의 악령의 힘으로부터 벗어났다고 확신할 수 없다면 그의 성찰은 높은 벽에 가로막히게 되는데,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나가도록 이끄는 존재가 바로 우리의 유한성을 깨닫게 해주는 전지전능한 신이다.

이 무한한 실체(신)는 아무것도 원하지 않는다. 이 실체는 일시적 기분이나 선호, 욕구 등을 전혀 지니지 않으며 그저 존재할 뿐이다. 하지만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궁극적으로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 신은 모든 것을 행할 수 있어야 하며, 바로 그런 의미에서 전능하다.... 신이 모든 것의 설명 근거라면, 모든 존재의 근원이라면 신은 어떤 의미에서 궁극적인 진리이다. 따라서 우리는 신을 자신 안에 알려질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존재로 생각할 수 있으며, 바로 이런 의미에서 신은 전지하다. _ 리처드 프랭크스, <데카르트의 성찰 입문>, p222

결국, <성찰>에서 데카르트의 성찰은 지성과 의지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유한한 인간의 인식이 오류를 범하지 않고 절대진리인 신에게 이르기 위해서는 이성을 사용한 과학적 방법만이 유일한 길임을 6일간의 성찰을 통해 드러낸다.

오류는 지성과 의지의 결합에서 생겨난다. 나의 지성은 나에게 관념들을 제공하며, 나의 의지는 그들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지성은 내가 범하는 오류의 원인이 아니다. 지성은 단지 내가 고려해야 할 관념들을 제공할 뿐이다. 하지만 의지는 이와 정반대이다. 나는 무엇인든 원할 수는 있지만 자유롭기 때문에 잘못 원할 수도 있다. 오류는 내가 오류에 빠지기 쉽지만 제한되지 않는 나의 의지를 사용한다는 사실에서 발생한다. _ 리처드 프랭크스, <데카르트의 성찰 입문>, p232

우리는 <데카르트 성찰 입문>을 통해 데카르트 자신은 <성찰>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E 384~322)의 영향을 받은 스콜라 철학자들을 비판했지만, 정작 그 비판방식은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1274)의 신앙과 이성의 길을 사용했음을 확인하게 된다. 아직 중세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데카르트 철학의 전체 구조를 담아두고 그의 저작 <성찰>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이 순수한 관찰에서 얻은 지식이 아무리 '정밀하다' 할지라도 이들은 참되고 불변하는 지식에 결코 이를 수 없었다. 이들의 탐구에서 빠진 요소, 곧 과학적 지식의 진정한 기초는 경험에 포함된 것이 아니라 관찰을 과학으로 바꾸는 요소인데 이 요소가 바로 이성이다. _ 리처드 프랭크스, <데카르트의 성찰 입문>, p2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