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이성비판』 강의 원전디딤돌 2
이수영 지음 / 북튜브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순수실천이성이 우리의 의지를 그 어떤 정념적 대상들과 상관없이 규정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된다면 그저 생각할 수만 있었던 저 자유를 객관적 실재로서 파악하게 되는 것입니다. <실천이성비판>의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자유와 윤리의 기초를 확보한다는 것. 이에 따르면 자유는 사변적으로 파악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오직 실천적인 차원에서만, 다시 말해 윤리적 차원에서만 제대로 파악될 수 있는 것입니다. _ 이수영, <실천이성비판 강의>, p23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실천이성비판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을 풀이한 이수영의 <실천이성비판 강의>. 앞선 <순수이성비판 강의>를 통해 시공간을 통해 지각하는 대상에 입법하는 지성의 역할과 이에 대해 순수이성에 의한 월권이 상세하게 설명되었다면, 이제는 감각의 대상이 아닌 것에 대한 논의와 해설이 <실천이성비판 강의>에서 이루어진다.

자유의 범주들은 저 자연의 범주들에 비해 명백한 특징을 갖습니다. 자연의 범주들(지성의 범주들)은 무규정적인 객관들을 보편적인 개념들을 통해 인식하는 사고형식이었지만, 자유의 범주들은 자유로운 의사의 규정에 관계하므로 실천적 요소 개념들로서 직관의 형식(시공간) 대신 이성 중에 있는 순수의지의 형식을 주어진 것으로 그 기초에 두고 있습니다. _ 이수영, <실천이성비판 강의>, p123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에서 널리 알려진 개념은 아무래도 "너의 의지의 준칙이 항상 동시에 보편적 법칙 수립의 원리로서 타당할 수 있도록 그렇게 행위하라(A54)"는 정언명령(定言命令, Kategorischer Imperativ)과 자유(自由)라 생각된다. 얼핏 '~을 해야한다'는 명령과 자유의 개념은 상충되는 것으로 보이기에, 이들이 하나로 묶이는 것이 쉽게 이해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실천이성비판 강의>는 끊어진 듯 보이는 이 간격을 쉬운 해설을 통해 부드럽게 이어준다.

<실천이성비판>에서 자유는 정언명령이라는 도덕법칙으로부터의 자유가 아니다. 그것은 정념적인 조건들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한다. 상황, 감정 등과 같은 여러 조건들이 관여하는 순간 도덕법칙은 시공간의 현상으로서 규칙으로 전락할 것이기에, 도덕법칙이 형이상학적인 항상성을 갖기 위해서는 '정념'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실천 규칙이 하나의 실천 '법칙'이 되기 위해서는, 욕망하는 결과를 위해 우리가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그런 결과를 낳기 위해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인지 묻기 전에 의지 자체를 충분히 규정해야 합니다. 즉 가언적이지 않고 정언적이어야 합니다. 법칙이란 필연적인 것입니다. 이 필연성을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의지에 우연히 부착해 있는 정념적인 조건들로부터의 해방입니다. _ 이수영, <실천이성비판 강의>, p33

칸트는 <실천이성비판>에서 도덕법칙은 별이 빛나는 하늘에서부터 정언명령이라는 형식으로 우리 자신에게 주어지는데, 우리는 이러한 형식에 대해 '자유'의지를 통해 내용을 실천적으로 채워갈 것을 요구받음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실천에 관계하는 것은 오로지 실천이성이라는 것을 <실천이성비판 강의>를 통해 이해하고, 이 개념들을 바탕으로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으로 들어간다면 좋을 듯하다. 너무 많은 설명을 해설서를 통해 다 이해하기 보다 큰 틀을 세워두고 상세한 내용을 채워간다면 한결 발걸음이 가벼우리라 생각한다. 이와 함께 독자들은 책을 읽으면서 일어나는 수많은 정념들로부터 얻어지는 부분적인 자유가 무엇인지 실감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PS.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칸트는 의지의 준칙이 보편적 법칙 수립의 원리로 타당할 수 있도록 하라는 말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쓴 책이 독자들에게 폭넓게 이해될 수 있도록 배려하지는 못했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하게 된다...

정언명령은 선험적인 명제입니다. 경험을 통해 구성되는 것도 아니고 논리적 추론에 의해 도출된 것도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의 경험 이전에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절대적인 명령입니다. 여기서 순수이성은 자신이 근원적으로 법칙 수립적임을 고지합니다. 감성도 지성도 아닌 이성 자신이 의지에게 명령하는 것이 바로 정언명령입니다. _ 이수영, <실천이성비판 강의>, p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