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소포클레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오카스테 : 이 사람이 말하는 자가 누구면 어때요? 조금도 신경 쓰실 것

없어요. 그따위 말은 일고의 가치도 없어요. 다 허튼소리에요.

오이디푸스 : 이런 단서를 잡고도 내 출생의 비밀을 

밝히지 못한대서야 말이 되지 않소.

이오카스테 : 당신 목숨이 소중하시다면, 제발 이 일은

따지지 마세요. 나는 괴로워 못 견디겠어요.

오이디푸스 : 염려 마시오,. 내 어머니가 노예이고 내가 삼대 째 노예로

밝혀지더라도, 당신이 천민으로 드러나지는 않을 테니 말이오.

이오카스테 : 제발 내 말 들으세요. 부탁이에요. 더는 따지지 마세요.

오이디푸스 : 진실을 분명히 밝히지 말라는 당신 부탁은 들어줄 수 없어요.

이오카스테 : 나는 좋은 뜻에서, 당신에게 최선의 조언을 하는 거에요.

오이디푸스 : 당신의 '최선의 조언'이 아까부터 나를 괴롭히고 있소.

이오카스테 : 오오, 불운하신 분. 당신은 자신이 누군지 알게 되지 않기를! _ 소포클레스, <오이푸스 왕>, 1056~1068, p71 


 인간의 휘브리스(hybris)가 가져온 파멸적인 결과가 그리스 비극(悲劇)의 주제라면, 오이디푸스에게 닥친 비극의 탄생은 어디에서 시작된 것으로 봐야 할까.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할 것이라는 신탁(神託)이 오이디푸스의 잘못 때문이 아니라면, 그의 아버지 라이오스의 잘못으로 봐야할 것인가.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라는 단어는 유명하지만, 정작 오이디푸스에 대해서는 자신의 뜻과는 상관없이 근친상간을 저지르게 된 불행한 인물 정도로 인식된다. 그렇다면, 오이디푸스는 운명의 희생자인가? 해설에 따르면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일단 죄를 지으면 당사자는 물론이고 그 후손들이 대물림하여 벌을 받기 마련이고, 이러한 고통의 과정을 통해 좋든 싫든 깨달음에 이르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제우스의 은총이라는 죄와 벌의 변증법이 아이스퀼로스 작품들에 담긴 중심 주제다. 반면 소포클레스는 결코 인간사의 뒤안길에 숨은 궁극적 의미를 파고들지 않는다. 소포클레스에 따르면, 신의 섭리를 알아내려는 주제넘는 행동도, 인간에게 가해지는 운명의 타격에 반항하는 것도 옳지 않고, 자신의 한계와 분수를 아는 인간의 지혜롭고 건강한 마음만이 신들의 사랑을 받는다는 것이다. _ 소포클레스,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옮긴이 해설 , p524


 사자 : 예언자의 말인즉, 사람이 사람으로 태어나

 사람으로서는 과도한 생각을 품게 되면, 

 너무 웃자라 못 쓰게 된 그런 자들은 필시

 하늘이 보낸 재앙에 쓰러진다고 했소. _ 소포클레스, <아이아스>, 758~761 , p265


 자신의 무고함을 지나치게 믿고 실현된 예언을 끌어내어 세상에 드러내면서 오이디푸스는 스스로를 예언의 도구로 희생된 아들/남편 오이디푸스와 도덕을 수호해야 하는 심판자 오이디푸스의 구도 속에 밀어넣게 된다. 어머니/아내 이오카스테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신(神)의 예언이 거짓임을 입증하고자 하는 과도한 자신감. 이것이 오이디푸스의 휘브리스가 아닐까. <아이아스>에서 사자의 말은 오이디푸스의 휘브리스를 무엇보다 잘 설명하는 듯하다.

 

오이디푸스 : 아아, 내 딸들이자 내 누이들이여! _ 소포클레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329, p169


 안티고네와 이스메네. 모계 중심의 가계도에서는 오이디푸스의 누이들이자, 부계 중심에서는 그의 딸들인 뒤틀린 관계. 오이디푸스의 휘브리스가 아니었다면 풀지 않아도 될 뫼비우스의 띠처럼 풀기 어려운 도덕적 과제가 주어졌기에 감당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오이디푸스는 스스로 눈이 먼 테이레시아스가 되는 선택을 내린 것이 아니었을까.


테이레시아스 : 내 아들이여! 인간은 누구나 실수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실수를 하더라도 자기가 저지른 실수를

고칠 줄 알고 고집을 부리지 않는 자는 더 이상

행복으로부터 버림받은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오.

다름 아닌 고집이 어리석음의 죄를 짓게 하는 것이오. _ 소포클레스, <안티고네>, 1024~1027, p136


 테이레시아스는 소포클레스(Sophokles, BCE 497 ~ BCE 406) 대신 휘브리스로부터의 구원을 이야기한다. 복수의 여신으로부터의 해방을. 복수의 여신은 <오이디푸스 왕>에서 인륜(人倫)을 어긴 것에 대한 분노로 테바이를 질병으로 몰아넣고, 오만한 오이디푸스를 불행으로 떨어뜨린다. 그렇지만, 자신의 행동과 오만함(휘브리스)에 고난으로 속죄하는 오이디푸스 곁에 여신은 계속 머무르지 않는다. 오이디푸스 죽음 후에 복수의 여신은 크레온에게 가서 그의 휘브리스에 대한 대가로 아들 하이몬과 아내 에우뤼디케의 목숨을 가져가는 것을 보면, 소포클레스에게 복수와 휘브리스는 아이스퀼로스의 그것과는 사뭇 결이 다르다.


 아이스퀼로스(Aeschylus, BCE 525 ~ BCE 455)의 <오레스테이아>에서는 복수의 여신(에리니에스)은 탄탈로스와 그의 후손들 곁에 머무르면서 그들의 혈통이 끊어질 때까지 떠나지 않는다. 물론,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3부작에서도 에리니에스의 분노는 오이디푸스 혈통을 절멸시키지만, 아이스퀼로스의 비극에서처럼 아테나의 한 표로 분노가 억압되기 전에 옮겨갔다는 것은 복수와 휘브리스에 대한 두 작가의 인식 차이에서 온 것은 아닐런지.


 데이아네이라 :  만일 그대가 내 상처 주위에, 그 중에서도 레르나의 

 괴사(怪蛇) 휘드라의 담즙에 화살이 까맣게 물들었던

 곳 주위에 엉겨 붙은 피를 손으로 모은다면, 

 그것은 그대에게 헤라클레스의 마음을 사로잡는

 마법의 약이 되어, 그가 그대보다 더 사랑하려고 

 다른 여인을 쳐다보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오. _ 소포클레스, <트라키스 여인들>, 573~577 , p320


 테우크로스 : 그렇다면 당신을 구해주신 신들을 모독하지 마시오.

 메넬라오스 : 내가 신들의 법을 어기고 있단 말인가?

 테우크로스 : 당신이 여기 서서 죽은 자를 묻어주지 못하게 한다면

 메넬라오스 : 공공의 적을 묻어주는 것은 온당하지 못하니까. _ 소포클레스, <아이아스>, 1129~1132 , p280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에는 그 외에도 여러 형태의 휘브리스가 등장한다. 자신이 누구보다 뛰어난 장수임을 과신한 <아이아스>의 아이아스, 남편 헤라클레스의 사랑을 확고히 붙들고자 넷소스에게 받은 휘드라의 독을 사용한 <트라키스 여인들>의 데이아네이라. 그들은 모두 휘브리스에 대한 대가로 죽음을 선택하지만, 그 죽음이 그들의 자식들에게 미치지 않는다. 대신, 신들의 법(天倫)을 어긴 또 다른 이에게 복수의 여신은 옮겨간다. 


 메넬라오스가 아가멤논과 함께 탄탈로스의 후손임을 생각해본다면, 탄탙로스 가문의 비극에 대한 다른 해석이 가능할 듯하다. 아이스퀼로스는 탄탈로스의 업보로, 소포클레스는 <일리아스>의 아킬레우스의 분노를 일으킨 아가멤논과 아이아스에 대한 메넬라오스 형제의 업보가 분노의 여신의 방문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했을까.

 

 테우크로스 : 헥토르는 여기 이분에게서 선물로 받은 혁대로

 전차 난간에 묶여 질질 끌려가다가 결국에는 

 숨을 거두었소. 한편 이분은 헥토르한테서 

 이 칼을 선물로 받았다가 이 칼 위에 엎어져

 숨을 거두고 말았소. 쇠를 불려 이 칼을 만든 것은

 복수의 여신이고, 그 혁대를 만든 것은

 잔혹한 장인인 하데스가 아니었을까? _ 소포클레스, <아이아스>, 1029~1035 , p276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에 실린 여러 단편은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 ~ 1831)의 <안티고네> 해석과 함께 후대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일례로, <오이디푸스 왕>에서 드니 빌뇌브(Denis Villeneuve, 1967 ~ )의 <그을린 사랑 Incendies>을, <안티고네>와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왕>에서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 ~ 1616)의  <리어왕>이 연상되는 것은 너무도 자연스럽다할 것이다. 후대 명작의 원형인 소포클레스의 작품 안에서 연좌제에 대한 구원 가능성을 발견하면서 이번 리뷰를 갈무리한다...


 코로스 : 사람들은 일단 보고 나면 많은 것을

 헤아릴 수 있으나, 보기 전에는 아무도

 자신에게 다가올 운명을 예언할 수 없지요. _ 소포클레스, <아이아스>, 1418~1420 , p292


 데이아네이라 :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헤라클레스가 이름만 

 내 남편이지, 실은 더 젊은 여인의 남자가 되는 거요.

 하지만 내가 아까도 말했듯이, 화를 낸다는 것은

 분별 있는 여자에게는 어울리지 않아요. 그래서 내가,

 친구들이여, 그 구원 수단을 그대들에게 말하려는 거요.

 나는 오래전에 옜날의 괴수(怪獸)한테 받은 선물을

 청동 항아리에 보관하고 있다오. 그것은 내가

 아직 처녀였을 때 치명상을 입고 죽어가던

 털복숭이 가슴의 넷소스한테 받은 것이라오. _ 소포클레스, <트라키스 여인들>, 552~558 , p3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