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경신 선생은 고려청자에서 나온 산화철의 함량이 평균 1.8퍼센트로 송나라 청자의 3퍼센트보다 적다는 걸 분석해냈습니다. 그리고 고려청자의 색이 송나라 것보다 더 회색빛이 나는 까닭이 망간(은백색 광택이 나는 중금속 원소)의 함량이 더 높기 때문이란 것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성분 분석만으로는 결코 고려청자를 재현해내지 못합니다. 도자기는 재료, 유약의 종류, 굽는 온도에 따라 결과물이 크게 달라지거든요.

조선백자는 결코 고려청자보다 못한 도자기가 아닙니다. 사실 백자는 청자만큼이나 만들기가 힘듭니다. 보통 흙에는 산화철이 들어 있어서 불을 만나면 푸르게 변합니다. 이 때문에 백자를 만들려면 산화철이 없는 자토를 만들어야 합니다. 열을 받으면 푸른빛을 내는 요소가 유약 속에도 들어 있기 때문에 유약을 더 정제하는 기술도 필요합니다. 그러니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는 기술의 우열로 가리기보다 취향의 차이로 봐야 합니다.

목판본은 새길 때 공이 많이 들지만 인쇄 분량이 많을 때는 효율적입니다. 반면 금속활자는 조립과 해체가 쉽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책을 조금씩 찍을 때 목판본보다 상대적으로 유리하죠. 중국은 인구가 어마어마한 만큼 책을 값싸게 공급할 때는 목판본 인쇄가 금속활자 인쇄보다 더 유리했겠죠? 그에 비해 고려나 조선의 금속활자 인쇄술은 대체로 다품종 소량 인쇄에 적합한 기술이었습니다. 그러니까 고려나 조선이 중국에 비해 금속활자 기술 개발에 훨씬 적극적이었던 겁니다.

질긴 한지의 비밀은 찧고 두드리는 과정에 있습니다. 나무의 섬유 조직은 많이 찧고 두드릴수록 세게 뭉치면서 광택이 있고 희고 두꺼운 종이가 되거든요. 중국이나 일본의 종이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이런 전통을 줄곧 유지했습니다.

화차는 놀라운 발명품입니다. 바퀴를 달아 이동성을 높였고, 각도 조절의 폭을 넓혀 훨씬 먼 곳까지 신기전을 쏠 수 있는 장치였습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신기전이나 화차 같은 무기가 19세기 초에나 등장했습니다.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이 행주산성에서 크게 승리한 것도 신기전과 화차 덕분이었습니다. 화차 3백 대가 있었기에 3만 명에 달하는 왜군을 불과 2300명의 병사로 무찌를 수 있었던 겁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수원 화성은 빼어난 아름다움과 과학적 설계를 자랑하는 건축물입니다. 옛 성들이 단순히 적을 막는다는 개념으로 지어진 반면, 화성은 공격과 방어를 위한 각종 설치물이 세심하게 설계되었습니다. 성곽을 따라 걷다 보면 그런 설치물들이 눈에 띌 겁니다. 대충 지나치지 말고 주의해서 보기 바랍니다

온돌의 효율은 어떻게 높일까요? 온돌의 핵심 기술은 구들장이 오랫동안 식지 않게 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구들장으로 쓰는 돌이 중요합니다. 운모, 편마암, 화강암 등 열의 보존과 전도가 잘되는 것을 구들장에 쓰는 이유죠. 다음으로, 열기를 오래 붙잡아둬야 합니다. 구들장이 채 달궈지기 전에, 또는 달궈지고 나서도 열기가 금세 빠져나가면 안 되니까요. 그래서 개자리를 만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