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차가 유행하지 않은 까닭이 풍토 때문은 아닐까요? 중국과 일본에는 차가 잘 자라는 습한 기후의 산지가 널려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습니다. 차가 자라는 지역이 적었던 거죠. 그러다 보니 찻값이 담뱃값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쌌던 겁니다. 우리 농민들은 음식 먹고 텁텁한 걸 숭늉으로 풀었고, 다도茶道를 즐길 만한 계층이 중국과 일본보다 턱없이 적었습니다.

문익점이 목화를 도입한 공은 씨앗 몇 개를 가져온 데 있지 않습니다. 핵심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씨앗을 심어 목화를 얻어낸 농업 기술입니다. 실패를 거듭한 끝에 씨앗으로부터 목화를 길러냈고, 또 그걸 죽이지 않고 더 많은 씨앗을 얻어냈습니다. 목화 재배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이런 일을 해낸 건 정말 대단한 일입니다. 둘째는 하얀 솜털 같은 열매로부터 실을 얻어내는 기술을 확보한 것입니다. 열매 안에 있는 목화씨를 빼내야 솜으로 쓰는데 그 기술을 알아냈고, 목화 솜뭉치에서 실을 뽑는 특별한 기술도 배웠습니다.

목화는 전국으로 퍼져 재배되었고, 목화로 짠 무명은 삼베를 밀어냈습니다. 무명이 옷감의 질이 좋고, 겨울을 날 솜을 제공했기 때문만이 아닙니다. 삼베 천을 제작할 때보다 힘이 다섯 배나 덜 들었거든요. 한마디로 경사 난 거죠. 그뿐이 아닙니다. 이후 조선은 재배 기술이 없는 일본에 무명을 팔아 엄청난 은을 벌어들였습니다.

우리나라는 그 전까지 의학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의방유취》를 출간하면서 단숨에 의학 강대국으로 떠올랐습니다. 그건 마치 천문학 분야에서 중국의 역법과 이슬람 역법에 통달해 《칠정산》 내·외편을 편찬한 포부와 비슷한 것이었습니다. 작업이 이루어진 시기도 비슷합니다. 1444년에 《칠정산》 내·외편이 간행되고, 4년 뒤인 1448년에 《의방유취》 초고 편찬이 완료되었으니까요. 이 두 사례의 공통점은 한 분야 전체를 통째로 이해하고 최고의 수준에 도달함으로써 우리나라만의 과학을 이루었다는 데 있습니다. 조선은 적어도 문화적으로는 중국과 맞먹는 새로운 제국의 건설을 꿈꾸었던 것이 아닐까요?

세계의학사에서 《동의보감》과 비슷한 사례를 찾는다면, 이슬람의 아비센나Avicenna(이븐시나, 980~1037)가 지은 《의학정전》을 들 수 있습니다. 아비센나가 이슬람권이라는 다른 지역에서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와 로마의 갈렌의 의학을 종합한 체계를 세웠듯, 허준의 《동의보감》도 중국과 다른 지역에서 《황제내경》, 《상한론》 등의 전통에서 비롯한 고금의 의학 전통을 멋지게 종합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