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치자의 신격화와 동시에, 신은 갈수록 통치자의 형상을 닮아갔다. 이 시대 예술 작품에서 비슈누는 왕국의 상징물을 들고 있는 군주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는 4세기 로마 성상에서 신과 그리스도가 갈수록 권좌에 앉은 황제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것에 비견할 만하다.

380년 1월 그리스 북부 테살로니키에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성자와 성부의 관계에 관한 칙령을 발표했다. 후대에 익숙한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동등한 위엄과 삼위일체 개념 아래" 하나의 신성이라는 내용이었다. 그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공식 노선을 따르지 않는 자는 ‘미치광이’로 규정되어 신과 황제의 분노를 감당해야 했다.

이것은 기독교 교리와 이단이라는 개념뿐 아니라 기독교와 교회, 그리고 황제의 관계에도 결정적인 순간이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자신을 제국과 교회 계급 구조의 정점이자, 주교들의 공의회에서 결정된 신경의 선포를 주관하고 통합을 위협하는 반대자들을 처벌하는 ‘열세 번째 제자’의 자리에 올려놓았다.

기독교 사상과 전례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시작된 종교적 권위와 세속적 권위의 충돌은 로마제국에만 국한된 사건이 아니다. 실제로 같은 기간에 매우 다른 형태의 기독교가 발달한 아르메니아에서는 세속적 통치와 종교적 통치의 분열이 더욱 치열하고 피비린내 나는 갈등을 촉발했다.

결정적으로, 타론 공의회는 기원후 수세기 동안 기독교가 아르메니아 남부에서 해오던 역할을 전 국가로 확장시켰다. 이로 인해 기독교회가 보다 복잡하고 완전한 위계 체제하에 필요한 이에게 도움과 구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제 무대에서 전개된 종교적·정치적 변화로 이후 20년간 아르메니아 내부 정세는 더욱 복잡해졌다.

4세기에 일어난 기독교, 힌두교, 불교의 역동적인 변화는 이전 수세기에 걸쳐 고대 세계가 연결되면서 그 토대가 마련되었다. 각 종교는 전파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변형을 거쳤다는 사실도 짚고 넘어간다. 고대 힌두교와 불교가 특히 그런 경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