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곡자
귀곡자 지음, 신동준 옮김 / 인간사랑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가대사에 관한 계책을 낼 때는 응당 양권 量權을 통해 해당 국가의 국력을 세심히 살피고, 군주에게 유세할 때는 응당 췌정 揣情을 통해 군주의 속마음을 세심히 살펴야 한다. 모든 계책과 판단을 바로 '양권췌정'에서 나온다... 기본 술수는 모두 같다. 선왕의 도와 성인의 계책을 갖고 있을지라도 '양권췌정'이 없으면 은밀히 감춰진 의도를 찾아낼 길이 없다. 이것이 계책의 근본이고 유세의 법칙이다.  _ 귀곡자, <귀곡자 鬼谷子> <췌정 揣情> 7-4 , p254


 귀곡자(鬼谷子, BCE 4C ? ~ ?)의 <귀곡자 鬼谷子>는 종횡가(縱橫家)의 사상이 담긴 책이다. 종횡가들은 전국시대 당시 군주들을 찾아다니며 유세(遊說)를 했고, 군주를 통해 자신의 사상을 펼치는 일단의 사상가들로 소진(蘇秦)의 합종설(合縱說)과 장의(張儀)의 연횡설(連衡說)은 그 중 성공적인 종횡가와 유세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상대의 마음을 읽고 그 마음을 움직이는 술수에 대한 내용이 담긴 <귀곡자>.  술수의 핵심은 바로 '양권궤정 量權揣情'에 있다. 


 대상에 따라 9가지 유세방안이 있다. 첫째, 지혜로운 자와 말할 때는 박식 博識에 기댄다. 둘째, 박식한 자와 말할 때는 사물의 이치에 밝은 변석 辯析에 기댄다. 셋째, 변석에 밝은 자와 말할 때는 간명하고 핵심적인 간요 簡要에 기댄다. 넷째, 신분이 높은 자와 말할 때는 권세 權勢에 기댄다. 다섯째, 돈이 많은 자와 말할 때는 고상 高尙에 기댄다. 여섯째, 가난한 자와 말할 때는 이득 利得에 기댄다. 일곱째, 신분이 낮은 자와 말할 때는 겸허 謙虛에 기댄다. 여덟째, 용맹한 자와 말할 때는 과감 果敢에 기댄다. 아홉째, 어리석은 자와 말할 때는 예리한 지적인 예봉 銳鋒에 기댄다. 이것이 유세술이다. 사람들은 통상 이와 정반대로 유세한다. _ 귀곡자, <귀곡자 鬼谷子> <양권 量權> 9-5 , p326


 흔히 <귀곡자>의 많은 내용이 유세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이기에 책을 설득하는 방법의 자기계발서 정도로 생각하거나, 종횡가들을 단순한 궤변가 정도로 인식하기 쉽지만 <귀곡자>의  본문 처음과 끝의 내용은 이러한 우리의 편견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준다.


 성인 聖人은 사람을 관찰할 때 상대의 장단점과 허실을 살펴 판단하고, 상대의 기호와 욕망에 근거해 그 의지와 의도를 읽는다. 또 상대의 말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그 허점을 찾아낸 뒤 짐짓 자신이 알고 있는 것에 기초해 반문하는 방법으로 실정을 파악함으로써 상대의 속셈을 읽는다. _ 귀곡자, <귀곡자 鬼谷子> <벽합 捭闔> 1-3 , p16


 <귀곡자>의 시작 <벽합>은 유세를 하는 주체가 성인임을 분명하게 밝힌다. 성인 또는 도(道)와 하나되어 천지합일(天地合一)의 진인(眞人)이 그 도를 만물의 변화에 맞게 조화시키는 것이 바로 유세다. 개인적으로 이들 문장을 통해 <논어 論語>의 오도일이관지(吾道一以貫之)나 <중용 中庸>의 지성무식(至誠無息)과도 통하며 <도덕경 道德經>의 상선약수(上善若水)를 떠올린다. 천지를 마음에 품고 길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자신을 수양한 후 그 길을 세상으로 확장시키는 것. 이러한 마음가짐을 종횡가들은 난세(亂世)를 '유세'라는 방법을 사용해 극복하고자 했던 뜻이 아니었을까. 그들의 사상이 아닌 방법에 지나치게 치중하는 것도 또 다른 왜곡임과 함께 궤변가가 아닌 종횡가의 다른 면을 <귀곡자>를 읽으며 바라보게 된다...


 도는 신명 神明의 본원으로 도가 변화하는 단초가 된다. 덕 德이 5기(신기 神氣, 혼기 魂氣, 백기 魄氣, 정기 精氣, 지기 志氣)를 기르고 마음이 대도에 부합해야만 능히 도에 이르는 도술을 얻을 수 있다. 도술은 마음의 기를 머무는 곳에서 이끌어내는 것으로 여기서 신기가 나온다. 인체의 구규 九竅와 십이사 十二舍는 기가 드나드는 문으로 마음이 총괄한다. _ 귀곡자, <귀곡자 鬼谷子> <본경음부칠술 本經陰符七術> 1-1-1 , p434


 이런 위세가 마음속에 내재하는 것을 신화 神化, 몸에 체화된 사람을 '진인 眞人'이라고 한다. 진인은 처지와 함께 대도에 부합하는 까닭에 오직 '하나'인 도를 견지한다. 만물을 생육하고, 천심을 가슴에 품고, 덕혜 德惠를 베풀고, 무위로 사려 思慮를 지도하는 이유다. 진인은 이런 방법을 통해 위세를 떨친다. _ 귀곡자, <귀곡자 鬼谷子> <본경음부칠술 本經陰符七術> 1-1-2 , p436


 심기가 전일하면 욕망이 심신을 어지럽게 만드는 일이 없고, 그리하면 지기가 뜻하는 이른바 지의 志意가 쇠미해지지 않고, 지의가 쇠미해지지 않으면 사유의 이치인 사리 思理가 창달하게 된다. 사리가 창달하면 심기가 조화롭게 통화는 화통 和通이 이뤄진다. 화통이 이뤄지면 어지러운 기운이 마음을 혼란하게 만드는 일이 없게 된다. 마음속으로 '양지술'을 행하는 자는 사람의 그릇을 단박에 아는 지인술 知人術이 밖으로 드러난다. _ 귀곡자, <귀곡자 鬼谷子> <본경음부칠술 本經陰符七術> 1-2-1 , p4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