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는 동유럽 및 아프리카에 이어 세 번째로 중요한, 이슬람권으로 유입되는 노예 공급지였다. 1000년의 세계에서 중요한, 강제 이주를 유발한 요인이 바로 이 중앙아시아의 노예 판매였다.

사만 왕조는 기량 좋은 군인 노예가 미숙한 노예보다 가격이 비싸다는 것을 깨닫기 무섭게 군인 노예 양성소를 설치했다.313 그리하여 노예 거래로 막대한 수익을 올리게 되자 순도 높은 은화를 계속 만들어 냈다. 이 현상은 1000년 이후의 어느 무렵 유럽 대륙에 은 부족 사태가 야기되어 은 공급이 끊길 때까지 계속되었다.

상인 길드는 일찍부터 인도에 존재했으며, 촐라 왕조의 치세 때 번영을 구가했다. 게다가 상인 길드는 인도인과 비非인도인 모두를 회원으로 받아들여 구성원이 다양했다. 파는 물건의 종류는 달랐지만, 상인들은 군주의 특혜를 받기 위해 단합함으로써 낮은 세율을 적용받기도 하고 왕을 대리해 세금을 징수하는 일도 했다.

이 상인 길드가 촐라 왕조 팽창의 열쇠였다. 타밀어를 쓰는 상인 집단들이 동남아시아 및 중국과 무역하기 위해 조합을 구성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금, 후추, 동남아시아에서 나는 각종 향료, 날염된 고급 면직물 등 고수익 상품을 전문으로 취급했다.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사람들은 더위에는 비단보다 면이 쾌적하다는 이유로 면직물을 더 좋아했다. 그래서 상인들도 목화 재배부터 염색, 직조, 그리고 마지막 단계인 블록 날염에 이르기까지 목면 생산의 전 과정에 길드를 조직했다.

우리가 선조들에게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훈은 생소함에 어떻게 반응하는 것이 최선인지 배우는 것이다. 우리 선조들 중에는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위험성 여부를 따지지도 않고 카누 아래에서 자던 토착민들을 죽인 바이킹도 있었고, 이방인과 마주치자 시간을 갖고 참을성 있게 서서히 그들과 안면을 터 낯을 익힌 뒤에야 그들이 제시하는 물건과 자신들이 가진 물건을 주고받는 거래를 한 다른 대륙의 토착민들도 있었다. 가장 성공적인 경우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원거리 무역 관계를 수립한 사람들이었다. 물론 세계화를 경험한 사람 모두가 그 혜택을 입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생소함에 개방적인 사람들이 새것에는 무조건 손사래를 친 사람들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얻어 낸 것은 분명하다. 그것이 1000년이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는 진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