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인류의 대항해 - 뗏목과 카누로 바다를 정복한 최초의 항해자들
브라이언 페이건 지음, 최파일 옮김 / 미지북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부분의 폴리네시아인들은 초호에서 고기를 잡고 텃밭을 일구며 고향에 머물렀다. 경작 가능한 토지는 심지어 더 넓은 섬에서도 사회적 삶의 근간이었다. 농경과 연관된 사회 구조는 상속과 토지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중심으로 돌아갔다. 출생 순서가 가장 중요했다. 따라서 오세아니아 원해의 식민화를 추진한 원동력은 땅과 상속권에 대한 추구일지도 모른다. _ 브라이언 페이건, <인류의 대항해>, p50/188

브라이언 페이건(Brian M. Fagan, 1936 ~ )의 <인류의 대항해- 뗏목과 카누로 바다를 정복한 최초의 항해자들 Beyond The Blue Horizon>에서 선사시대(先史時代)부터 바다로 연결된 세계에 대한 이야기다. 두 발로 대지를 딛을 수 없는 변화무쌍한 바다로 나갈 수 밖에 없었던 것은 '경작 가능한 토지'의 제약 때문이었다. 중세 봉건 귀족들의 봉토(封土)가 제한적이어서 장자에게만 상속되고, 둘째 이하의 자녀들은 성직자 등 다른 방식으로 삶을 살아야 했던 것처럼, 고대 지중해, 인도양, 태평양의 항해자들은 바다로 내몰릴 수 밖에 없었다.

고대 항해자들이 마음속 깊이 새겼던 것 중 하나는 인명 피해의 불가피성, 결코 귀환하지 못한 카누들, 현대의 유럽과 미국 어부들 사이에 여전히 남아 있는 침몰과 좌초에 대한 거친 숙명론이었다. 모든 대양을 해독하는 작업은 오랜 경험과 냉정한 현실주의, 조심스러운 항해 그리고 깊은 바다 풍경과 얼마나 친숙한가의 문제였다. _ 브라이언 페이건, <인류의 대항해>, p19/188

항해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지도, 축적되지도 않은 시기 항해자들은 자신들이 바다에 갖는 지식의 깊이 이상의 먼 바다로 나갈 수 없었다. 하나의 섬이 사라지면 다음 섬이 보이는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는 연안 항해을 통해 그들은 수많은 이들을 만나고 거래하면서 보다 멀리까지 나아가며 교류할 수 있었다.

끊임없는 가르침, 온갖 종류의 날씨 속에서 힘겹게 쌓은 경험, 하루하루 힘들게 암기한 각종 항해 지침은 글로 쓰이지 않은 전문 지식을 대대로 전달하는 유일하게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대부분의 연안 항해는 짧았다. 모든 여정은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여정, 순풍이 불기를 기다리거나 수지맞는 교역로 근처에 잠복해 있는 해적들을 피해 피난처에 몸을 숨기고 몇 주 씩 기다리는 항해였다. 처음 출발했을 때의 화물은 끊임없이 사고파는 과정을 거치며 여정의 끝에 가서 완전히 바뀌었다. _ 브라이언 페이건, <인류의 대항해>, p171/188

이렇게 바다는 그 자체가 하나의 길(道)이었다. 작은 오솔길을 따라 한 두 채의 민가가 있고, 과거 나그네들이 호텔과 같은 커다란 숙박업소와 식당 없이도 시골집의 후한 인심에 의지해 여행을 갈 수 있었던 것처럼 바다는 원주민의 생활공간이었음을 <인류의 대항해>는 보여준다. 서로가 서로를 필요했기에 이들의 관계는 상호평등적이었고, 우호적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에서 말리노프스키(Bronislaw Malinowski, 1884~1942)가 말한 '쿨라의 교환 관계'가 형성될 수 있지 않았을까.

바다의 영토는 상상의 영역까지 이어진다. 육지 부족들 사이에 꿈 Dreaming이 있는 것처럼 여기에도 바다의 영역과 물길을 아우르는 바다 꿈 Sea Dreaming이라는 것이 있다. 하루하루의 실제 세계와 정신적 영역은 오스트레일리아 해안 원주민의 삶 속에, 창의적이고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며 육지나 바다 건너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사람들과 연계를 유지하는 데 익숙한 사람들 속에 하나로 얽혀 있다. _ 브라이언 페이건, <인류의 대항해>, p26/188

이와 같은 교환 관계가 파괴된 것은 바다와의 협력관계가 깨지고, 바다를 극복해야 하는 장애물로 인식된 근대 이후 부터다. '바다로 연결된 세계'가 아닌 '바다로 단절된 세계'로 바다를 타자화하는 관점이 대항해시대(大航海時代) 이후 자본주의를 탄생시켰다는 것은 단순한 우연일까. 마르셀 모스(Marcel Mauss, 1872 ~ 1950)를 비롯한 많은 인류학자들의 연구가 오늘날 현대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제시되는 것에는 '단절에서 연결'이라는 공통된 인식 때문이 아닌가를 생각하게 된다...

오늘날 컨테이너선과 초대형 유조선의 세계에서 공식 항해 지침서는 훨씬 짧아졌고 레이더 목표물과 항만 규정에 대한 언급으로 가득하다. 저자들은 이제 작은 정박지와 포구에는 거의 눈길을 주지 않는데 유람선을 타고 다니는 선원들에게는 이제 그들만의 안내서가 따로 있기 때문이다. 마치 바다가 다시 우리로부터 멀어진 것만 같다. 그리고 이 느낌은 원양 여객선이나 유람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널 때 가장 분명해진다. _ 브라이언 페이건, <인류의 대항해>, p175/188

지중해와 마찬가지로 인도양에서도 그러한 연안 항해는 전쟁중인 지배자들과 국제 외교의 그늘에 가려 역사적 각광을 받지 않은 채 번성했다. 근해 운항은 수천은 아닐지라도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채 오로지 예측 가능한 바람의 리듬으로만 이어진 여러 민족과 국가들 간의 연결을 촉진했다. 긴밀하게 상호 연관된 몬순 세계는 그렇게 생겨나 동아프리카 해안과 홍해에서부터 인도와 스리랑카, 그리고 멀리 동남아시아와 중국까지 뻗어 갔다. _ 브라이언 페이건, <인류의 대항해>, p78/1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