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하바라따 2 - 1장 태동: 신들은 영생을 위해 불사주를 구하고, 인간들은 사랑과 명예를 위해 삶을 버린다 마하바라따 2
위야사 지음, 박경숙 옮김 / 새물결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당신들도 언제나 다르마를 향해 있고, 다르마와 베다를 알고 있으며, 열망에 넘치고 덕을 구족한 브라만을 사제로 모셔야 하는 것입니다. 쁘르타의 아들이여, 세상을 정복하고자 하는 크샤뜨리야는 누구든 왕국의 영광을 위하여 사제를 구해야 합니다. 세상을 정복하려는 왕은 브라만을 자기 앞에 세워야 합니다. 그러하니, 덕 높은 브라만을 당신들의 사제가 되게 하십시오.(p697)... 크샤뜨리야의 빛은 힘이며 브라만의 빛은 인내이다. _ 위야사, <마하바라따 2>, p700


  위야사의 <마하바라따 2 : 태동>에는 정말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번 리뷰에서는 통치권을 가진 크샤뜨리야보다 브라만의 힘이 왜 더 강한가를, 그래서 인도 전통의 계급 구조에서 최상위에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려한다.


 전쟁을 수행하는 전사계급인 크샤뜨리아가 속(俗)의 권력이라면, 브라만의 권위는 성(聖)으로부터 나온다. 힘으로 남을 복속시킬 수는 있지만, 결코 자신의 세계 안으로 들어오게 할 수는 없기에, 크샤뜨리야의 지배를 위해서는 브라만의 힘이 필요하다. 단지 이것만으로는 브라만이 크샤뜨리야 위에 있다는 설명에는 부족하기에, 우리는' 브라만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가?'를 봐야 한다. 다르마를 깊이 알고 있는 이에 따르면 이는 진리를 추구하는 것으로부터 나온다.


 삼계와 신들의 제왕이 되는 것, 혹 그보다 더한 것도 다 버릴 수 있지만 어떤 일이 있어도 진실이 버릴 수는 없습니다. 이 땅이 향기를 버린다 해도, 물이 제 맛을 포기한다 해도, 빛이 비추는 일을 그만두어도, 바람이 접촉하는 성질을 잃는다 해도, 태양이 빛을 버린다 해도, 불이 뜨겁지 않게 된다 해도, 창공이 소리를 버린다 해도, 달이 차가운 빛을 뿜지 않는다 해도, 인드라가 위용을 버린다 해도, 다르마의 왕이 다르마를 저버린다 해도 제가 진리를 버리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_ 위야사, <마하바라따 2>, p482


 누구나 진리를 추구하지만, 아무나 진리를 가까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디로 가야할 지 누구도 모르는 상황에서 진리를 깨닫는 것은 물론, 진리를 추구하는 것도 엄격하게 제약된다. 각자 저마다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왕이 아닌 자가 왕의 친구가 될 수 없듯, 오직 진리의 가치를 이해하는 자만이 그것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브라만이고,  브라만의 진리 추구는 금욕(禁慾)으로 행해진다.


 학식 없는 자는 학식 있는 자의 벗이 되지 못하며, 마차 없는 자는 마차 가진 자의 벗이 되지 못한다. 왕이 아닌 자는 왕의 벗이 될 수 없다. 옛날의 벗이며, 무엇을 바라는가?(p666)....  

 

 인간이 아무리 다르마와 아르타와 까마를 추구해도 그것들은 인간을 빠져나간다. 그것들과 멀어지니 모진 고통만 따르는구나. 어떤 이는 해탈을 최상이라 말하지만 그런 것은 아예 존재하지도 않는 듯하다. 재산을 아무리 모은다 해도 지옥이 기다릴 뿐이다. 재산을 바라는 그 자체가 크나큰 고통이 따른다. 가진 것을 사랑하는 자가 그것을 잃으면 더 큰 고통이 뒤따른다. 나는 이 재난을 헤쳐 나갈 어떤 방법도 아직 찾지 못했구나. _ 위야사, <마하바라따 2>, p643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내려놓고 깨달음을 위한 정진. 브라만의 금욕 수행은 아킬레우스와 같은 전사의 분노를 세상의 법칙 안으로 던져 넣었을 때 완성된다. 아서 왕(King Arthur)이 죽음 직전 엑스칼리버를 호수에 던져 버리고 아발론(Avalon)으로 떠났듯, 브라만의 힘은 크샤뜨리아의 힘을 버린 후에야 얻을 수 있음을 <마하바라따 2>는 알려준다. 불과 같은 분노를 버리고 물과 같은 평정심을 얻었을 때 브라만은 진리를 깨닫고, 세상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브라만이 크샤뜨리아보다 강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제 난 모든 것에서 벗어나려 결심했소. 묶이는 것이야말로 가장 큰 재앙이기 때문이오. 난 아버지의 멸하지 않을 선행을 본받아 반드시 필사적인 고행에 나를 묶을 것이오. 탁발로 연명할 것이며 머리를 삭발하고 성자들처럼 이 세상을 유랑하겠소. 내 몸이 먼지에 파묻히도록 내버려둔 채 빈집이나 나무둥치 아래 의지해 살겠소. 좋고 나쁜 것을 모두 떠나고, 어떤 일에도 슬퍼하거나 기뻐하지 않을 것이며, 비난이나 칭찬을 똑같이 여길 것이오. 누구의 축복도 바라지 않을 것이며, 어느 누구에게도 절하지 않겠소. 양극의 상반되는 모든 개념을 버리고 철저히 무소유가 될 것이오. _ 위야사, <마하바라따 2>, p521


  <마하바라따>의 저자는 한 손에 불을, 다른 손에 물을 들라고 말하지 않는다. 불을 넘어선 물은 깨달음을 위한 단순한 단계에 대한 설명만은 아닐 것이다. 이는 저자가 성(聖)과 속(俗)이 함께 할 수 없음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마하바라따>를 통해 후대에 말하고 싶은 것은 아니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둘을 모두 가지려는 이들이나, 두 권력의 결탁이 후대에 계속되어 나타나고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씁쓸한 마음이 들게 된다....


 분노에서 일어난 불, 세상을 삼키려 하는 그 불을 물속에 던지거라. 그리고 축복 있거라. 세상은 물 위에 서 있는 것이란다. 모든 것의 진수는 물로 이루어진 것이며, 실로 온 세상은 물로 되어 있는 것이다. 훌륭한 브라만이여, 그러니 불 같은 네 화를 물에 던지거라. 브라만이여, 네가 하고 싶다면 성냄에서 비롯된 네 불을 바닷속에 있게 하거라. 물을 태우거라.  _ 위야사, <마하바라따 2>, p7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