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모순은 니체 사상의 특징이다. 우리는 거의 언제나 니체의 어떤 판단에 대해서도 정반대의 판단을 또한 발견할 수 있다. 겉으로 보면 그는 모든 것에 관해서 두 가지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따라서 우리는 바로 우리가 원하는 것을 니체로부터 마음껏 인용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니체는 권력의지를 바그너를 통해서 처음 직접 관찰했으며, 거기서 얻은 인식을 물리학적·우주론적 세계 일반으로 넓혀 체계적으로 이해해보려 분투했다. 1880년대의 유고들은 그런 분투의 흔적이다. 그러나 결국 니체는 권력의지를 보편적 체계로, 일종의 형이상학적 체계로 세우는 데 실패한다.

니체는 디오니소스의 힘이 우리 안에 있다고 믿었다. 니체의 무시무시한 언어들은 우리 내면의 어두운 동굴 속 불 뿜는 용을 거꾸러뜨리고, 우리 안의 신화적인 힘에 호소력을 발휘해 그 힘을 밖으로 불러낸다. 니체의 언어를 통해 디오니소스의 귀환과 부활은 낡은 신화에서 벗어나 생생한 현실이 된다.
그리고 이 귀환과 부활의 반복 속에서 작동하는 것이 권력의지다. 권력의지는 우주라는 거대한 바다를 출렁이게 하는 힘들의 관계가 아니라, 죽음으로부터 부활로 삶을 이끌어가는 무한한 재생의 동력이다.

요약하자면, 니체의 ‘동일한 것의 영원회귀’는 백승영에게 이르러 ‘생성의 영원회귀’로 나타난다. 동일한 것을 생성, 즉 영원한 변화와 변전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결국 들뢰즈가 주장한 ‘차이의 영원회귀’와 다를 바 없게 된다.

세계의 관점이 아닌 우리들의 관점에서 영원회귀는 하나의 선택(의지)을 요구한다. 세계 속에 존재하는 하나의 사물로서 우리 역시 생성과 소멸의 반복하는 운동 속에 있지만 그럼에도 우리 자신이 구체적으로 그것을 선택함으로써 건강한 변신을 이루는 것은 중요하다

니체는 자서전에서 《선악의 저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 책은 본질적으로 근대성에 대한 비판이다. 그 비판은 근대 학문, 근대 예술, 심지어는 근대 정치마저도 제외하지 않으며, 그 밖에 근대의 반대 유형인 고귀한 긍정의 유형에 대한 지침서이기도 하다. 이 후자의 의미로 보자면 이 책은 ‘고귀한 자들’을 위한 학교다."

니체의 핵심 사유인 권력의지 사상에 입각해서 보면 그의 민주주의 비판은 분명한 논리적 일관성이 있다. 민주주의는 확실히 약자들의 반란을 통해 성립한 제도이며, 약자들을 주인으로 만들어내는 제도이다. 니체는 약자가 아니라 강자가 지배해야 하며 강자를 약자로부터 보호하고 키워내야만 초인의 창출과 진정한 창조 활동이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에 이런 약자의 세상을 만든 민주주의를 용납할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