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해의 얼음은 극지방의 낮은 기온을 유지해 지구의 기후를 조절한다. 얼음의 밝은 표면은 햇빛의 80%를 반사해 다시 우주 공간으로 내보내는 보호벽 역할을 한다. 하지만 북극해의 얼음은 10년에 13%씩 줄어들고 있다.

이 보호벽이 사라지면 증발량이 늘어나고, 그러면 늘어난 수증기가 대기로 유입되어 비, 습기, 눈이 된다. 이 때문에 더 극단적인 날씨가 발생한다.

잘사는 나라들은 국경을 넘어 탄소를 수입하기 때문에 연소 같은 더러운 일을 다른 나라에 떠넘긴다고 볼 수 있다. 이 흐름을 추적하면 각국 정부로 하여금 탄소 배출량을 합당한 수준으로 책임지고 제한하게 하기가 더 쉬워질 것이다.

플라스틱은 종류가 워낙 많아서 분류하기가 매우 어렵다. 완벽하게 분류하더라도 대부분은 재활용되지 못한다. 결국 몇 세대 뒤에나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그냥 내다 버려야 한다.

지역의 소각 시설들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공급 원료"라고 부르며 어떻게든 확보하려고 혈안이다. 다른 연료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이다. 이런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에 ‘지속 가능한 에너지’ 또는 ‘녹색 에너지’라는 잘못된 이름이 붙기도 한다. 사실 지역 소각 시설은 온실가스를 석탄 화력발전소보다 많이 배출한다.

재생에너지 가운데 발전량이 가장 많은 수력발전은 전체 전력의 약 16%를 공급한다. 이는 풍력발전의 3배, 태양광발전의 6배에 달하는 양이다. 수력발전은 댐에 저장된 물이나 강물을 사용해 전기를 만들어낸다.

수력발전은 다른 재생에너지에 비해 쉽고 신뢰할 만하며 저렴한 에너지원이다. 가장 오래된 에너지원이기도 하다. 인류는 중국 한나라 시기부터 물을 끌어다 노동에 도움을 받았다.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는 한국의 시화호 조력발전소다. 시간당 254MW를 생산하는 이 조력발전소는 4만 호 이상의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전 세계에서 전기의 약 10%를 생산하는 핵분열에너지는 저탄소 전력 공급원 중 발전 용량이 수력발전 다음으로 크다. 핵발전소는 화석연료를 태우지 않기 때문에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 전 세계에서 약 450기의 원자로가 가동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