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국가는 세계자본주의 안에서 그것에 대응하며 또 그것이초래한 모순들을 해결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자본제경제는 그대로 내버려두면 반드시 경제적 격차와 대립을 가져옵니다. 그러나 네이션은 공동체와 평등성을 지향하기 때문에, 자본제가 초래하는 격차를 해결하도록 요구합니다. 그리고 국가는 그것을 다양한 규제나 세(稅)의 재분배에 의해 실현합니다. 자본제경제도 네이션도 국가도 각각 다른 원리지만, 여기서 그것들은 서로 보충이라도 하듯 접합되어 있습니다. 나는 그것을 ‘자본=네이션=국가‘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 P16

그런데 ‘생산‘은 일반적으로 폐기물을 무시하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창조성만이 평가됩니다. 헤겔과 같은 철학자가 파악해온 생산이란 그와 같은 것이라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헤겔의 사고를 관념론이라고 공격한 마르크스주의자는 실은 생산을 유물론적으로 보지 않았던 것입니다. 즉 생산이 폐기물을 수반한다는 것을 보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생산을 충분히 긍정적으로만 파악해 왔던 것입니다. 그리고 나쁜 것은 인간에 의한 인간의 착취, 또는 계급지배라고 말입니다. - P40

 화폐와 신용에 의해 짜여진 자본제경제시스템은 경제적 하부구조이기는커녕 신용에 의해 존재하는 종교적 세계와 같은 것입니다. 그것은 단순히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라고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같은 것을 국가나 네이션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습니다. 그것들은 언뜻 보면 이데올로기적 또는 관념론적으로 보이지만, 자본제와 마찬가지로 기초적인 교환양식에서 기인하고 있습니다. 그것들은 이데올로기나 표상과 같은 것이 아닙니다. 근대의 자본제경제, 국가, 네이션은 기초적인 교환양식의 변형과 접합에 의해 역사적으로 형성되어온 것입니다. - P43

또 절대왕정은 세(稅)의 재분배에 의해 일종의 ‘복지국가‘를 가장하게 됩니다. 그리고 국가의 실체인 상비군과 관료기구는 시민혁명(부르주아혁명)에 의해 인민주권이 성립된 후에도 존속합니다. 즉 약탈재분배라는 교환양식은 근대국가의 핵심으로 살아남은 것입니다. 그럼 호수적 교환(A)은 어떨까요? 자본주의적 사회구성체에서농업공동체는 상품경제의 침투에 의해 해체되었지만 다른 형태로 회복되었다고 해도 좋습니다. 그것이 네이션입니다. 네이션은 호수적 관계를 기본(base)으로 한 ‘상상의 공동체입니다.  - P49

이상을 정리해보면 세계사는 다음과 같이 볼 수 있습니다. 중앙집권적 제국이 먼저 서아시아와 동아시아에서 성립하고, 그바깥(주변)에서는 중핵 문명이나 제도를 받아들여가면서도 중심부의 집권적 원리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곳에 고전고대적인 도시국가와 제국, 그리고 그 주변에 봉건적이라고 불리는것이 발달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 머지않아 중앙집권적인 국가가 형성되었습니다. 그것이 상비군과 관료기구를 갖춘 절대주의국가입니다. - P75

그렇다면 화폐가 출현하기 위해서는 상품 5만이 등가형태에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마르크스는 이런 ‘단순한 가치형태‘에서시작하여 확대된 가치형태, 다시 ‘일반적 가치형태‘ 그리고 화폐형태로 발전하는 것을 논리적으로 보여주었지만, 화폐는 말하자면 상품 가 다른 모든 상품에 대해 배타적으로 등가형태에 놓이게 되었을 때에, 즉 한 상품만이 다른 모든 상품과 교환가능하게되었을 때 출현하는 것입니다.  - P85

니체의 생각은 보편종교의 출현이 주술=호수적 교환을 폐기하고 화폐에 의한 교환이 지배적이 된 시점에서 생긴다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마르크스가 가치형태론으로 제시한 것은 그 과정이라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 즉 단순한 가치형태에서 시작하여 일반적 등가형태 또는 화폐형태가 형성되는 과정입니다. - P105

이처럼 보편종교는 상인자본주의. 공동체 · 국가에 대항하여, 호수적(상호적)인 공동체 즉 어소시에이션을 지향하는 것으로서나타났던 것입니다. 같은 것을 불교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습니다. 불교는 상인과 여성 사이에서 퍼졌습니다. 후에 여성을 죄 많은존재라고 여기는 게 불교라고 생각되게 되었습니다만, 그것은 불교 이전부터 있던 수행자들의 통념에 지나지 않습니다.  - P108

되풀이해서 말하자면, 절대주의 국가에서는 그때까지 상호 대립하고 있었던 다양한 세력이 억압되고 전제적 주권자의 신민으로서 동일화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국가권력의 폭력성이 분명해집니다. 단순하게 말하면, 절대주의 국가질서는 새로운 경찰기구에 의해 유지되었던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경찰폭력이라는 관념이 성립합니다. 그러나 시민혁명 이후 국가질서는 더 이상 노골적인 폭력에 의해 유지될 필요가 없습니다. 그것은 오히려 국민에 의한 자발적 동의와 복종에 의해 유지됩니다. - P1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