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기원은 저자가 1989년 여름 내셔널 인터레스트지에 기고한 "역사의 종말? The End of History?)"이라는 제목의 논문이다. 거기서 나는 하나의 정부형태인 자유민주주의 Liberal Democracy가 군주제나 파시즘, 또는 최근의 공산주의와 같은 상반되는 이데올로기를 무너뜨리게 됨에 따라, 지난 수년 사이에 세계적으로 이러한 자유민주주의의 정통성에 대해 주목할만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자유민주주의가 "인류의 이데올로기 진화의 종점"이나 "인류 최후의 정부형태"가 될지도 모르며, 따라서 자유민주주의는 "역사의 종말"이 된다고 주장했다. - P7
그러나 내가 종말이 왔다고 주장한 것은 심각한 대사건을 포함한 여러역사적 사실의 발생이 아니라 역사 그 자체이다. 즉, 어떤 시대, 어떤민족의 경험에서 생각하더라도 유일한, 그리고 일관된 진화의 과정으로서의 역사가 끝났다는 것이다. 역사를 단 하나의 일관된 진화의 과정의로 간주하는 것은 독일의 위대한 철학자 G. W.F 헤겔의 사상에서 유래한다. - P8
이를 위해 나는 자연과학을 역사의 방향성과 일관성을 설명하는 장치또는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근대 자연과학은 이와 같은 논의에 있어서유효한 출발점이 되는데, 이는 자연과학이 인간의 행복에 대해 궁극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해도, 자연과학만큼 일반적으로 그 누적속성이나 방향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있는 주요 사회활동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 P11
하지만 역사에 대한 경제적 해석이라는 것은 역시 불완전하며,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것은 인간이 단순한 경제적 동물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제적 해석은 특히, 우리들이 왜 민주주의자인가 하는 점, 즉 우리들이 왜 인민주권의 원리와 법의 지배 아래 기본권에 대한 보장을 신봉하는지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이 책의 제3부에서는 역사의 과정에 대해 첫번째 관점과는 평행인 새로운 관점에 대해 설명하고, 인간의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그 전체적인 모습을 재파악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헤겔과그의 "인정받기 위한 투쟁‘에 기초한 비유물론적 역사관으로 되돌아가야한다. - P13
이렇게 해서 우리는 제2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역사를 경제적 관점에서 설명할 때 누락되었던 자유주의 경제와 자유주의적 정치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가 바로 인정받기 위한 욕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업화 과정이나 기타 경제 활동의 대부분은 욕망과 이성의 두 가지에 의해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자유민주주의를 향한 투쟁은 설명할 수 없으며, 이는 인정받고자 하는 영혼의 ‘패기‘ 부분에서 궁극적으로 비롯되는 것이다. 공업화의 진전에 따른 사회적 변화, 그중에서도보통교육의 보급은 가난하고 교육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그때까지 느끼지못했던 인정받기 위한 욕망을 불러 일으킨 것 같다.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도시화가 진전됨과 아울러 교육수준이 높아지고 사회가 전반적으로 평등화되면서 사람들은 단순히 더 많은 부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지위에 대한 인정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 P17
니체에 의하면 근대의민주주의란, 예전의 노예가 스스로 주군이 된 것이 아니라, 노예와 일종의 노예적 윤리가 무조건적인 승리를 거두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유민주주의에서 전형적인 시민이란, 근대 자유주의의 창시자들로부터 조련되어, 쾌적한 자기보존을 위해서라면 자신의 훌륭한 가치에 대한 긍지 높은 신념마저 내던져 버리는 "최후의 인간"이었다. - P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