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차례나 제갈량에게 패한 사마의는 궁지에 몰렸다. 그런 사마의를 구해준 것은 아군이 아닌 적군이었다. 바로 촉나라의 이엄이었다. 당시 한중군에 머물며 촉군에 군량과 무기를 공급하던 이엄은 군량 보급이 여의치 않아 책임을 추궁당할 궁지에 몰렸다. 이엄은 잔머리를 굴려 급한 일이 생겼으니 제갈량에게 회군할 것을 청했다. 그러고는 후주 유선에게도 거짓 보고를 했다. 결국 제갈량은 231년 6월 식량이 다하자 회군했다.
사마의는 수비전에 치중했다. 이미 위나라는 제갈량의 침입에 대비하여 관중 지역의 농토를 대규모로 개발해 식량을 비축했을 뿐만 아니라, 황하 중하류 지역으로부터 군량과 무기를 운반해 저장해뒀다. 지구전을 펼치면 무조건 이기는 상황이었다.
한마디로 진수는 명재상 관중과 소하는 스스로 재상의 자질이지만 장수의 자질이 없음을 알고 장수를 천거해 제나라 환공과 한고조 유방의 성공을 도운 데 반해 제갈량은 장수의 자질이 부족함에도 명장을 발굴해내지 못했다고 지적한 것이다.
『삼국지/제갈량전』에는 제갈량의 북벌 기사가 승패 정도만 간략하게 기록되었다. 이 기사만 보면, 제갈량이 유능하지 않다는 느낌마저 준다. 배송지주에 인용된 『원자』나 『묵기』에서도 제갈량이 명장의 자질은 없었다고 기록했지만, 구체적인 전투 장면을 보면 제갈량이 무능했다고 볼 수도 없다. 오히려 『묵기』에서 주장한 것처럼 1/9의 영토와 5만도 안 되는 군사가 실제 촉의 국력이었다면 위나라 군사들을 격파한 점은 제갈량의 유능함을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제갈량의 실패는 융중대에서 밝힌 전략의 전제인 형주를 잃어버림으로써 이미 예견되어 있었다. 형주와 익주에서 각각 낙양과 장안으로 진격하는 전략 자체가 불가능했다. 물론 한고조 유방처럼 익주에서 관중으로 진격하는 방법도 있었다.
강유는 제갈량의 후계자인 장완과 비위처럼 수비에 치우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위나라를 공격하려고 했다. 그러나 11회의 북벌에서 25%의 승률을 기록하고, 7차 북벌 때 잠깐 정복한 3현도 그나마 빼앗겼기 때문에, 잦은 북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아무런 성과도 얻지 못했다. 강유가 북벌에 실패한 이유는 곽회와 진태, 등애 등 위나라의 장군들을 이길 수 있는 실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제갈량이 북벌에 실패했던 가장 큰 원인인 군량 수송에 신경 쓰지 않고 위나라 땅에서 식량을 조달하려고 했던 무모함도 한몫했다.
나아가 강유는 결과적으로 촉나라가 위나라에 망하는 원인을 제공했다. 259년 이후 강유는 유비가 위연을 시켜 만들어놓은 요새(원문에서는 ‘위 圍’라고 쓰여 있다)의 주둔 병사들을 한성과 악성으로 후퇴시켰다. 적군이 침입하지도 않는데 요새에 병사를 두는 것은 병력과 군량의 낭비라는 게 그 이유였다.
이때는 강유의 대안이 당시 상황에 부합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263년 위나라의 종회鍾會 가 한중군을 점령하는 과정을 보면 결과적으로 잘못된 선택이었다. 강유가 요새의 병력을 철수시키지 않았다면 촉나라는 위나라에게 한중군을 빼앗기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