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와 다른 소년들의 상태에 이름을 붙여야 한다면 ‘정서적 접촉에 대한 자폐적 장애’로 명명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카너는 도널드와 비슷한 행동 패턴이란 맥락에서 최초로 사용한 "자폐적"이란 말에 간단한 설명을 덧붙였다. "가장 중요한 차이는 이 어린이들이 아주 이른 유아기부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연결하는 능력이 없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런 능력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전반적 건강 상태와 "타고난 지적능력"에 큰 문제가 없다는 점이라고 했다.

자폐증 또는 자폐적이란 말 역시 카너가 만든 것이 아니라 전혀 다른 질병의 증상을 뜻하는 말에서 빌려온 것이었다. 바로 조현병이다. 이런 차용은 이후 자폐증을 논의할 때 두고두고 혼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지만, 카너 입장에서 보면 이치에 닿지 않는 것은 아니었다. 1943년 당시 조현병이란 병명은 환각, 사고장애, 현실과 비현실을 정확히 구별하지 못하는 잡다한 정신질환에 널리 사용되었다.

결정적인 두 가지 특징을 파악한 사람이 바로 카너였다. 어린이들은 극단적으로 혼자 있기를 좋아하고, 극단적으로 주변의 모든 것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해야 했다. 그는 두 가지 극단적 성향이 새로운 증후군의 핵심이며, 그때까지 차이점에 주목한 탓에 공통점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듀이는 1950년대에 자폐증으로 진단받은 아들 덕에 고대 방랑자들의 행동을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었다. 신성한 바보들의 행동을 광기나 성스러움이 아닌 자폐증으로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른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들은 "사회적 선입견에 구속되지 않았으며", 고립된 상태로 사는 데 만족했다. 몇몇은 의식儀式에 가까운 틀에 박힌 행동을 반복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빅터가 놀랄 만큼 선택적으로 듣는다는 것이었다. 특정한 소리는 마치 귀가 안 들리는 것처럼 완전히 차단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