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두 개의 신화는 하나가 되었다. 캔자스는 모든 것이 평균인 땅이지만 그 평균의 특성은 일탈과 호전성, 분노다. 오늘날 캔자스는 일상생활의 구석구석까지 반동의 선전으로 점철된 보수주의의 성소다.

덧붙여 말하자면 보수주의가 만들어낸 경제환경의 본색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하게 했다. 이 세 차례의 추문은 하나같이 엔론이나 월드컴 사태처럼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이 신경제이론이라는 환각에 취해 저지른 준準공익사업과 연관되어 있었다.

그러한 경제논리가 언제나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단 하나의 요구조건은 값싼 노동력이다. 지난 25년 동안 여기서 발생한 모든 일이 바로 그 단순한 요구에서 나온 것이다. 1960년대 초 정육업계의 기업인들은 그들의 작업공정을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규격화하고 단순화하는 기술을 개발해냈다.

이 지역을 연구한 두 명의 인류학자는 중산층의 ‘완전한 몰락’과 아무리 애를 써도 "값싼 노동력을 탐욕스럽게 추구하는 정육산업에 영원히 내둘리는 도시발전 전략, 그리고 그에 따른 사회적 혼란"에 대해서 경고한다.

범인은 바로 보수주의자들이 그렇게 애지중지하는 자유시장 자본주의 체제다. 그것은 거의 아무런 규제도 받지 않으며 소도시 상인이나 초기에 소도시를 유지시켰던 농업제도에는 전혀 도움이 안 된다. 규제 받지 않는 자본주의는 월마트가 캔자스 주 전역의 지역상권을 망가뜨리게 만든 주범이다. 하지만 그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그러한 자본주의가 캔자스 주의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는 농업을 거의 붕괴 상태로 몰아갔다는 사실이다.

그 대신에 오히려 농민들은 더 열심히 일하고, 더 많이 경쟁하고, 더 효율성을 높이고, 문제가 되는 상품을 더 많이 생산해낸다. 따라서 공급과잉 현상은 훨씬 더 악화되고 가격은 더 떨어진다. 우리는 이것을 ‘과잉생산의 덫’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오직 정부가 개입해 경쟁 중지 조치를 내려야만 극복할 수 있다. 민중주의자들과 농민조합은 이러한 정부의 개입정책을 확보하기 위해 수십 년 동안 투쟁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