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은 패턴화된 움직임을 통해 완성되며, 패턴을 만드는 직접적인 지시는 신경계로부터 나온다. 달리 말해 유전자가 직접 행동을 일으킨다기보다는, 그러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신경계를 만들고 자극에 대한 반응성을 유지한다고 할 수 있다.

유전자가 어떻게 행동을 조절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 과정은 유전자가 작용하는 신경회로를 찾아내고, 그 회로에서 유전자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문제는 크고 복잡한 포유류의 뇌뿐만 아니라, 10만여 개의 뉴런으로 구성된 초파리의 뇌에서도 이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신경회로를 이루고, 각각의 신경회로들이 어떻게 특정 행동을 조절하며, 어떤 유전자들이 이 과정에 관여하는지를 이해하는 일이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는 점이다.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회로의 물리적 실체는 바로 커넥텀connectome이라고 불리는 뉴런들의 물리적 연결 네트워크다. 브레너의 연구팀은 존 화이트John White를 중심으로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벌레의 연속 단면 이미지를 분석해 모든 뉴런을 찾아내고, 이들이 이루고 있는 시냅스를 규명하여 전체 커넥텀을 그려내고자 했다.

시간에 대한 고려는 드레이크 방정식의 마지막 계수인 L 값을 다루면서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될 것이다. 먼 훗날 화성과 유로파, 타이탄과 엔셀라두스에서 지능을 가진 생명체가 탄생한다면 태양계의 일생 전체를 관통하는 태양계 내의 fi 값이 재조정될 것이다. 애초에 이들 행성과 위성에 생명체가 탄생하지 않았다면 fi 값은 1이 될 것이다. 훗날 (생명체가 탄생했다는 가정하에서) 이들 모두에서 지적생명체가 출현한다면 fi 값은 역시 1이 된다. 이들 천체 모두에서 탄생한 생명체가 그냥 단순한 형태의 박테리아나 미생물 수준에서 진화를 멈춘다면 fi 값은 0.2가 될 것이다. 이런 상황들 사이에 여러 가지 조합이 생길 수 있으므로 fi 값은 0.2에서 1 사이 어느 곳을 차지할 것이다.

드레이크 방정식의 다섯 번째 계수 fi는 실제로 생명이 탄생한 행성(또는 위성) 중에서 생명체들이 진화해 지적생명체가 출현한 행성의 비율에 관한 계수다. 여기에서 시작점은 생명이 이미 탄생한 상황인 행성이나 위성이다. 그런 천체 중 얼마나 많은 곳에서 지적생명체가 태동했는지를 따져 보자는 것이다.
현재 시점까지 우주에서 생명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곳은 지구가 유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