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漢 왕조가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그 지역에 설치했던 낙랑군을 근대적 시각에 입각해 식민지로 규정하고, 이를 타율성론他律性論의 정립 차원에서 적극 활용하였던 것은 바로 일제 식민사학자들이었다. 2,000여 년 전 중국왕조의 일시적인 영역 확장이 우리 ‘민족’의 기원을 부정하고 한국사의 시초를 식민지로 만든다는 발상은 현재 역사학계에서는 전혀 통용되지 않는다.

유사역사학자들의 행태는 학문과 교육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민주주의 가치를 훼손함으로써 우리 사회를 전체주의로 몰아갈 위험이 크다. 우리 사회의 ‘건전한 지성’을 유지하고 국가권력과 쇼비니스트chauvinist들의 결탁을 통한 역사왜곡 사태가 반복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시민들 각자의 보다 성숙한 역사인식과 경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요컨대 탈실증주의는 과학이 지식을 얻는 특권적 방식이 아니며, 그저 서구 문화의 창조 신화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그 결과 비판이론,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주의, 해체주의를 비롯해 수많은 ‘주의’가 이 시기 동안 발생하게 되었다.

종교를 이유로 과학에 반대하는 창조론자들을 강력히 비난한 굴드는 아이러니하게도 정치적 이유로 과학에 반대했다. 덧붙이자면 굴드가 비판한 창조론자들은 여전히 과학계에서 진화에 대한 논쟁이 진행 중이라며 유전자 결정론에 대한 굴드의 공격을 언급하곤 한다.

정치적 의제를 알리는 데 관심이 있는 급진적 좌파들이 학계로 진출하면서 학문의 가치가 의심받기 시작했다. 더 심각한 문제는 급진적 좌파들이 자신과 비슷한 정치적 성향을 지닌 학자들하고만 연대하며 예술과 인문학이 늪에 빠졌다는 것이다.
이후 급진적 좌파는 사회과학 분야에도 발을 들이기 시작했는데, 특히 과학적 방법론이 엄격하게 적용되지 않는 분야를 공략했다. 철학, 정치학, 사회학, 심지어 심리학과 인류학까지 전쟁터가 되었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주관성을 강조한 결과, 급진적 좌파들에 의해 기이한 주장들이 제안되었다. 그 예로 서구 문명이 아프리카에서 훔쳐온 것이라는 아프리카 중심주의,39 수많은 반증에도 불구하고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생태학적으로 조화롭고, 이웃과 평화로운 삶을 살았다는 주장,40 인도-유럽 문명 이전에 여성들이 이끄는 평화로운 페미니스트 신이교neopagan 문명이 존재했다는 주장41을 들 수 있다.

쿤은 패러다임이란 공약불가능incommensurable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이 이전의 패러다임을 대체한다고 믿었다. 그는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뉴턴의 이론이 틀렸다고 인정할 때에만 받아들여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쿤이 하버드대학교에서 뉴턴의 운동법칙을 가르쳤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는 놀라운 주장이다.2 사실 아인슈타인은 뉴턴의 이론을 발전시킨 것이지 대체한 것이 아니다.

귀납-연역적 추론과 반대로, 가설-연역적 추론은 관찰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그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 우리는 가설과 초기 조건을 바탕으로 전제를 세우고 이로부터 특정한 의미를 이끌어낸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역된 내용에는 새로운 예측도 있을 수 있다. 창의적 과학에서 가설-연역적 추론은 상상력과 비판력 사이에서 벌어지는 탐구의 대화다. 가설을 수립하는 데 상상력이 동원된다 해서 이 과정이 비논리적illogical인 것은 아니다. 대신 ‘논리적 과정이 아닌 방식non-logical’으로 형성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단 가설이 수립되고 나면 이 가설은 비판의 칼날 아래 놓인다.9

아직 완전히 이해된 것은 아니지만 DNA 내에 단백질 정보를 담지 못한 부분에 그 열쇠가 있는 것 같다. DNA의 거의 90% 가까이는 단백질 만드는 것과 상관없는 염기서열이다. 중심원리의 관점에서 보면, 이 부분은 있으나 마나 한 부분이다. 아마도 교차돌연변이에나 쓸모 있는 쓰레기장 같은 거다. 그래서 정크 DNAjunk DNA라 부른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 부분이 DNA에서 발현의 결정에 관여한다.

생명은 자신을 복제한다. 자신에 대한 모든 정보를 DNA에 저장해두고 이것을 복제한다. 복제의 전 과정은 물리적이다. DNA로부터 자신을 만드는 과정 또한 물리적이다. 과정에 참여하는 개별 원자와 분자들은 열운동을 할 뿐이다. 모든 과정은 양자역학에 따라 진행된다. 하지만 생명이 왜 자신을 복제하려고 하는지 우리는 아직 알지 못한다. 생명은 왜 영원히 존재하길 바라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