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하는 어떤 동물도 현존하는 다른 동물에서 진화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대신 현존 동물들은 지질학적 역사의 (원리적으로는 식별 가능한) 특정 순간에 살았던 공통조상을 갖는다.

추세선이 보여주는 경향은 명확하다. 세대를 거듭할수록 종교는 쇠퇴하고 비종교인의 수가 늘고 있다. 침묵의 세대Silent Generation(1928~1945년 출생)는 11퍼센트, 베이비붐 세대(1946~1964년 출생)는 17퍼센트, X 세대(1965~1980년 출생)는 23퍼센트, 전기 밀레니얼 세대(1981~1989년 출생)는 34퍼센트, 후기 밀레니얼 세대(1990~1996년 출생)는 36퍼센트로 감소 폭은 깊고도 넓다.

하느님이 글을 통해 인간에게 직접 뜻을 전했다는 믿음이 약해지는 현상은 개인과 사회의 책임을 중시하게 된 분위기를 반영하는 또 하나의 지표다. 더 나은 세상과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도덕을 실천하는 일은 기도와 간청이 아니라 우리의 선택과 행동에 달려 있다. 또한 우리는 하늘의 천국이 아닌 지구 위에서 천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더 이상 기독교에 열정을 보이지 않는 이유는 종교가 허황되다는 확신을 가져서가 아니다. 단지 종교가 그들에게 더 이상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종교에 무관심해졌을 뿐이다." 이런 현상을 일컫는 단어가 바로 ‘무관심apathy’과 ‘유신론theism’을 합성한 ‘유신론에 대한 무관심apatheism’이다.

장기적 추세는 역시 종교와 멀어지고 세속화로 나아가는 것이다. 만약 이런 추세가 계속되어 지금껏 삶의 의미를 제시하던 전통적인 토대가 완전히 사라지면, 우리는 앞으로 그것을 어디서 찾아야 할지 한동안 깊이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하지만 유사역사학은 처음부터 결론을 정해놓은 닫힌 논리 구조 속에 있다. ‘우리의 역사는 시간적으로 오래되어야 하고, 공간적으로 거대해야 한다. 세계인들이 우러러볼 정도로 위대한 역사여야 한다. 그렇지 않다고 하는 역사는 식민사학이요, 매국사학이 된다.’ 이렇게 유사역사학은 건조하게 사실 관계를 따져야 할 역사 연구에 이데올로기적 당위와 윤리성을 뿌려 섞어버린다. 이래서는 제대로 된 연구가 불가능하다.
학문의 목적은 객관적 진실을 추구하는 것이지, 쇼비니즘적 욕망과 환상을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다.

북한이라는 공산주의 국가의 위협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는 국가에 대한 강한 충성심이 담보되어야 하는데, 이 강한 충성심은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위대한 국가가 있어야 그에 대한 강한 충성심이 따라오는 것이다. 유사역사를 만든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했다.

근본적인 문제는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교육에 있다. 세계사적 흐름에 따라 역사를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집안의 가족사를 보듯이 한국사를 살피면서 아프게 느껴지는 역사적 순간들에 대한 좋지 않은 기억을 축적하게 된다.

뜻밖에도 이렇게 한국사를 위조하고 비하하려는 근본적인 원인은 일제강점기의 식민사학에 그 뿌리가 있다. 일제의 식민사관은 식민지 조선을 열등하고 무능한 존재로 격하시켰다. 우승열패의 세계에서 조선은 열등했기 때문에 우등한 일제의 식민지가 될 수밖에 없었다고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해서다.

해방 후에도 조선은 열등한 나라라는 이미지는 사라지지 않았다. 열등하지 않았다면 식민지가 되지도 않았을 것이라는 단순명쾌한 논리가 있었다. 조선은 무려 500년을 존속한 나라임에도 말기의 혼란과 무능을 전 조선에 뒤집어 씌워도 무방했다. 이런 시각을 가장 잘 보여준 사람은 60~70년대 대통령이었던 박정희였다

박정희에게 한국사는 "남에게 밀리고 거기에 기대어 살아온 역사"이고 "세계에서도 드물 만큼 소아병적이고 추잡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이 모든 악의 창고 같은 우리의 역사는 차라리 불살라버려야 옳은 것"이었다. 박정희의 역사관은 일제강점기 식민사관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었다. 타율성론, 당파론, 만선사관(지리적 결정론)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그 외피는 민족주의를 표방했다.

역사학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고 새로운 해석에 의해서 과거의 모습을 더 잘 볼 수 있게끔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를 유사역사가들은 대수롭지 않은 변화라고 빈정거리거나 무시한다.

역사가들은 이런 복잡성을 이해하고 있다. 그 덕분에 역사가들은 어떤 문제에 대해서도 쉽게 단정하지 못하고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다는 애매한 이야기를 자주 한다. 반면에 유사역사가들은 딱 잘라서 단정적으로 이야기한다. "낙랑군이 평양에 있었다는 단 한 가지 증거만 가져오라."는 식으로 말하는 것이다. 창조론자들은 "진화의 증거가 되는 화석 하나만 가져와라."라고 말하고 홀로코스트 부정론자는 "유대인이 가스실에서 죽임을 당했다는 증거 하나만 대보라."라고 말한다. 이들은 이런 방법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