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를 정의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로 보인다. 그냥 아무것도 없는 것no thing 또는 하나도 없는 것not a thing이니까. 하지만 그 ‘것thing’이란 대체 무엇일까? 나는 여기서 최대한 포괄적인 의미로 ‘것’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무에 대한 몇 가지 다른 개념들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종류 혹은 다른 수준의 무를 구성하는 ‘것’들을 발견한다고 해서 모순은 아니다. 이런 무를 구성하는 것들을 구분해 분석하는 것은 인식이 가능하고 실제로 존재했을지 모르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무를 나누는 분류체계를 가능하게 해 무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풍성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분류체계는 모든 구체적인 대상의 부재가 형이상학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밝히려는 ‘빼기 논증subtraction argument’의 전통을 물려받았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빼기 논증은 구체적 대상을 하나씩 제거해가는 일련의 세계를 상상하여, 세계에 존재하는 마지막 대상까지도 사라지게 하는 것이다.5
이런 식으로 사고를 발전시켜보니 무에는 가장 단순한 무(무 1번)에서 가장 절대적인 무(무 9번)까지 아홉 단계의 무가 있을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호킹과 믈로디노프는 우주 전체를 모형화하기 위해 현재 5가지의 끈 이론 모델들을 통합하고 11차원을 포함하는 끈 이론의 확장판인 ‘M이론’을 선택했다. 그들은 "M이론이 가장 보편적인 초대칭 중력이론이다."라면서, "이러한 이유로 우주에 대한 완전한 이론으로 M이론은 유일한 후보다. 아직 증명되지 않았지만 우주가 유한하다면, M이론은 그 자신을 창조하는 우주의 한 모델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신 위의 질문에 대한 유신론자의 답변은 신이 우주 이전에도 존재했으며, 창세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단 한 번의 창조를 통하여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무에서ex nihilo) 우주가 생겨나도록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우주 ‘이전에’ 존재하던 창조자가 ‘이후에’ 우주를 창조했다는 생각에는 시간적인 순서 개념이 함축되어있다. 신의 창조를 통해서든 빅뱅Big Bang 때문이든 간에 유대-기독교 전통(유대-기독교 시대보다 앞선 바빌로니아의 우주관도 마찬가지)과 과학적 세계관 모두에서 시간은 우주가 생겨나면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신은 공간과 시간 바깥에 존재했어야 한다.

왜 아무것도 없는 대신에 무엇인가가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는 ‘무nothing’가 자연스러운 상태고 ‘유something’는 무로부터 생겨났기 때문에 그 이유가 설명되어야 한다는 가정이 전제되어 있다. 그러나 어쩌면 ‘유’가 자연스러운 상태이고 ‘무’가 해결해야 할 수수께끼일 수도 있다.

점성술에 대한 믿음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중요도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낮은 소득 - 젊은 나이 - 낮은 예배 참석률 - 기혼자 - 성경구절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않음 - 백인 이외의 인종 - 여성. 즉 점성술에 대한 믿음에서 성별은 기여도가 가장 떨어지는 요인이다

이 글에서는 성차가 사람들의 믿음에 주는 영향이 얼마나 적은지를 살펴본다. 그러면서 초자연적 현상을 믿는 사람들을 둘러싼 몇 가지 일반적이고 때로는 불편한 속설을 분석한다. 다음 주제들에 대해서도 간단히 살펴볼 예정이다. (1) 모든 인구 집단에서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믿음이 존재한다는 점, (2) 데이터와 관련된 문제들, (3)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모든 것을 설명하지는 못한다는 점, 그리고 (4) 성차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가지 이론의 부적절성. 이 글의 결론은 사람들의 인식과는 달리 남성과 여성이 갖는 믿음의 차이가 아주 크지 않으며 필연적이지도 않다는 것이다.

요약하면, 입면 악몽의 공포와 그 구체적인 내용은 기존에 알려진 REM 생리학과 영적인 존재에 관한 문화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믿음, 수면마비의 조건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