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는 뭐가 되었든 청년 튜링이 정의한 네 가지 부품만으로 만든 것이다. 미리 정해진 부품들이다. 따라서 기계를 글로 표현할 때, 정해진 형식으로 제한된 단어만 사용해서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기계를 입력으로 받아서 그 기계가 하는 일을 고스란히 따라 하는 기계. 이런 특이한 기계를 그래서 청년 튜링은 ‘보편만능의 기계universal machine’라고 이름 붙인다. 임의의 기계를 입력으로 받아서 그 기계가 할 일을 그대로 해주는 기계기 때문이다.
바로 이 보편만능의 기계가 컴퓨터의 원천 설계도다. 기계(소프트웨어)를 글로 표현해서 넣어주면 그 기계가 하는 일을 따라 해 주는 기계(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넣어주면 그 소프트웨어대로 일을 하는 도구. 바로 오늘날 우리가 컴퓨터라고 부르는 도구다.

따라서 비록 자유론적 자유의지(비물질적이고 의식을 갖춘 통제자에게 부여되는 자유의지론의 자유)는 없을지라도, 우리의 결정이 자연적이든 초자연적이든 외부의 힘에 의하여 통제되지 않고 정상적인 의사결정 능력(정신질환이나 뇌질환이 없는)에 의한 것이라면 그것은 ‘우리의 결정’이다.

사회가 형법 체계를 통하여 사람들에게 책임을 묻는 ‘방식’에 대해서는 이와 같이 인간의 행동을 재조명하고 우리에게 자유론적 자유의지가 없음이 분명하다는 사실을 밝힌 새로운 과학적 결론에 기초한 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주어진 상황에서 우리가 다르게 행동할 수도 있었다는 생각에 기초해 응분의 대가를 요구하는 응보주의 형벌의 정당성에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다. 반면에 사람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인센티브에 반응한다는 사실이 범죄 행동에 대한 기존 형벌을 유지하거나 심지어 강화하는 데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은 자유의지가 아니라 게임이론(사기꾼과 무임승차자의 처벌이 부정행위와 무임승차를 줄인다)적 분석에 의거한 결과다.

보어의 설명은 다소 철학적이다. 양자역학에서는 서로 공존할 수 없는 두 개의 배타적인 특성이 상보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의 입자성과 파동성은 상보적이다. 전자는 입자이며 파동이다. 하지만 실험을 하면 이 둘 중에 하나의 성질만 확인할 수 있다. 입자이면서 동시에 파동이 되는 실험은 절대 할 수 없다. 입자에 대한 실험을 하면 입자를 보게 되고, 파동에 대한 질문을 하면 파동을 보게 된다. 결국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질문이다. 무엇을 물어보느냐가 답을 결정한다는 거다.

불확정성 원리에 따르면 측정은 그 과정 중에 필연적으로 대상을 교란한다. 측정을 통해 얻어낸 결과는 전자가 원래 가지고 있던 성질이 아니다. 그 결과는 측정 중 교란을 통해 얻은 불확실성을 반드시 포함한다. 전자가 원래 가진 성질을 절대 알 수 없다면 원래의 성질이라는 것 자체가 존재하는 걸까? 블랙홀 내부에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FSM: Flying Spaghetti Monster’i이 있다면, 그것은 존재하는 걸까? 누구도 블랙홀 안을 볼 수 없지 않은가? 결국 전자는 실재가 아닌 거다. 훗날 보어는 이런 말을 했다. "자연이 어떻게 존재하는지 알아내는 것은 물리학의 임무가 아니다. 물리학은 우리가 자연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것에만 관심을 가진다."

대부분의 사람은 로스웰 음모론의 진짜 핵심을 종종 잊어버리거나 간과한다.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어느 누구도 로스웰에서 일어난 사건에 신경을 쓰지 않았다. 아무도. 이 사건은 30년간 UFO 신봉자들의 연구 대상에 끼지도 못했고 SF 소설이나 타블로이드 신문 오락면의 소재로도 환영받지 못했다. UFO 관련 문헌의 각주에라도 소개되면 다행이었다. 교묘하게 은폐되어서가 아니라 형편없는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로스웰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가장 빈틈하게 조사됐으며, UFO 주장의 실체를 가장 철저히 밝힌 사건이다. UFO 연구자들이 그 사건의 허구성을 인정하려 해도 이미 때가 늦어버렸다. 외계 생명을 발견하고 싶은 사람은 외계인들이 어디 있는지부터 살펴야 한다. 외계인이 정말 어딘가에 있다면 지구가 아닌 다른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아무래도 우주공간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