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탄생한 국민제헌의회(Assemblee nationale constituante)가 행한 첫 번째 일은 국민 합의에 의한 세금 납부 원칙 공표였다. 프랑스는 세금으로 건설된 나라이며 납세를 할 때 그 사람은 비로소 프랑스의 국민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 조세 원칙은 실로 중대한 결정이었다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 함락에 가담했던 시위대의 2/3가 생 앙투안 주민이었다. 그들의 싸움은 특권층에 대항해 수백 년간 이어온 민중 투쟁의 연장선 상에 있었다. 그러나 그동안의 도시 봉기와는 달리 이번에는 더 이상 절망 가득한 투쟁이 아닌 민중해방운동이었다. 특정 지배계급의 주도에 의해 휩쓸리는 그런 종류의 분노가 아니었다. 반란이라는 기본 형식에 민주주의가 마련한 새로운 방식의 평화적 사회 투쟁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민중의 열기는 전혀 새로운 모험을 향해 나아갔다.
앞에서 본 것처럼 궁중에서 시작되어 살롱으로 확대된 문화(혹은 문명)라는 개념은 문자를 매개로 공공의 장에 편입된 사람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문화를 지칭하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다른 대륙의 ‘미개인’과 다를 바 없던 일반 대중은 문화인일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같은 정치적 사고 방식의 밑바탕에는 보편적인 교육 이상주의가 깔려 있었다. 엘리트들은 언젠가는 모든 미천한 군중이 완전한 시민권을 행사할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거듭나도록 학교 교육, 언론, 연극을 통해 가르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었던 것이다.
국가의 토대를 세우는 막중한 시기에 새로운 논쟁이 벌어졌다. 국가 지방 행정의 가장 기본 단위인 4만여 코뮌에 자율성을 얼마나 인정해 줄 것이냐를 둘러싼 논쟁이었다. 시에예스는 코뮌의 자율적 권한에 부정적 입장이었다. 자치권을 확보한 코뮌은 공화국 형태의 무수한 소국(小國)으로 변모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