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문자 그대로 인간과 같은 의식을 가지는 경우와(이 경우 인공지능은 자아인식이 가능하다.) 인간과 동일해 보이지만 의식이 없는 경우, 인공지능 특이점의 본성은 완전하게 다를 것이다. 만약 인간과 같은 내적 인식이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기준에 비추어볼 때 어떤 종류의 ‘본질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면, 의식을 가진 존재와 의식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존재는 보다 근본적인 면에서 차이를 가지게 될 것이다.

나는 초인공지능이 어떤 임계점을 넘어서 내적 인식을 가지는 것처럼 보이는 대상과 실제로 내적 의식을 가지는 대상을 원리적으로 구분할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한다. 하지만 (생물학적 대상이든 비생물학적 대상이든) 어떤 존재자가 실제로 의식적 경험을 가지는지를 원리적으로 구분할 수 없다는 사실이 그 질문 자체를 무효화할 수 있다는 결론에는 동의할 수 없다. 내가 생각하기에 그 질문은 전적으로 유효하다. 로봇이 모든 우주를 개척하더라도 그 개척자가 문자 그대로의 ‘의식’을 가지지 않는 한 내적 경험의 부재는 본질적 가치의 축소를 의미할 뿐이다.

프랜시스 골턴Francis Galton의 우생학eugenics은 이런 욕망을 과학의 지위에 올려놓으려는 기획이었다. 그는 문명으로 인해 자연선택이 사라진 상황에서 인위선택을 통해 인간의 자질을 개선하고 사회적 진보를 이루려 했다. 그의 기본적 전제는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도덕적 특성은 유전되는데 이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인간의 사회적 성공 능력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유전적 요인을 통제하여 인간의 타고난 질을 개선해야만 미래가 보장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우생학적 주장들은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분이나 계급의 차이에 관여하는 어떠한 생물학적 본성도 밝혀내지 못했다. 하지만 무분별하게 이념과 가치를 탑재한 과학은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편견을 정당화하는 수단이 되었다. 우생학적 사상은 20세기에 미국과 유럽에서 광범위하게 구체화되었고 독일 나치에 이르러 유대인 대학살이라는 가장 극단적이고 부정적인 형태인 우생학적 조치로 귀결되었다. 이제는 국가 주도의 극단적인 우생학은 폐기되어 사라졌다.

사회는 개량될 필요가 있다는 믿음과 유전학의 잘못된 만남은 개인의 책임의식을 훼손하고 은밀한 형태의 우생학을 부추길 수 있다. 언론을 통해 유전자에 의해 지능이나 행동이 결정된다는 연구결과에 많이 노출될수록 유전자형을 개선하고 싶은 욕구가 커질 것이다. 그래서 본성과 양육에 대한 논쟁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스포츠 소비의 결정에 외부집단은 어마어마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외부집단은 문화나 민족의 경우처럼 미묘하게 작용하는 경우도 있고, 친구 손에 이끌려 지역 스포츠 행사에 참여하는 경우처럼 노골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어느 한 집단에 소속감을 느끼는 대다수의 사람들(하지만 모든 사람은 아니다!)은 생활방식을 결정할 때 그 집단의 선호도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 어느 스포츠를 선택해서, 그것을 얼마나 즐기고 훈련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 역시 예외가 아니다.

"사회문화적 요소는 전문성의 발달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인데도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 한 사회가 특정 스포츠 종목에 얼마나 큰 중요성을 부여하는가에 따라 성공 달성 여부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