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 현상을 각각의 프로그램에서 조직하려고 하는 이유는 팬들은 어디로 오라고 하면 오고, 방송이 끝났다고 해서 방송을 끄지 않거든요. 반드시 이것을 공유하고 사람들에게 알려요. 그게 팬의 기본 자격이죠. 그래서 팬덤 비즈니스는 디지털 경제에서 굉장히 잘 작동하는 편입니다. 각각의 프로그램과 기자들에게 팬덤 현상을 만들어주기 위해 커뮤니티를 지원하고, 브랜드화하기 위해 캐리커처를 그려주는 등의 작업은 굉장히 필요하다고 봐요.

로봇이 잘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독일에서는 일기예보를 로봇 기자가 쓰고 있거든요. 스포츠에서도 단신 있잖아요. 대학 농구, 대학 야구 등 사람들이 여지껏 취재하던 것을 로봇이 쓰는 거예요. 또 수치가 많이 들어가는 증시 동향 같은 것은 로봇이 담당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국내에서는 어뷰징 기사 따위를 로봇이 담당할 수 있겠죠. 인간 기자는 분석과 인터뷰 중심으로 가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기사 개수는 줄이고 퀄리티를 높이는 것. 여기에는 기자들의 개인적 열망도 반영된다고 봐요.

사실 언론의 자유라는 것이 성역 없이 누군가에게 질문하고 비판할 자유인 것은 맞지만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자유는 아니잖아요. 우리가 독자나 시청자들로부터의 비판에 어색한 반응을 보였던 것도 사실인 것 같아요. 언론의 자유가 무엇일까,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일까를 그 시국을 거치면서 굉장히 선명하게 느꼈어요. 저는 독자들 그리고 뉴스 수용자들이 끊임없이 언론을 감시하고 비판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최근에 여러 일이 있었지만 멈추지 않고 계속 감시하고 비판할 때 언론이 각성하고 자기가 해야 할 역할과 본질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됩니다. 이것도 수용자들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해답은 간단하다. 특혜는 줄이고 있는 법은 잘 지키면 된다. 종편을 감시하고 규제하는 법과 제도를 엄격하게 적용하면 된다는 얘기다.

지금까지의 언론개혁은 부패한 권력과 싸워 독립성을 쟁취하는 것, 왜곡된 시장과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새로운 시대의 언론개혁에는 중요한 과제 하나가 더해질 것이다. 바로 언론인 스스로 엘리트 의식을 내던지고 시민과 소통하는 과제 말이다. 자성과 소통을 거부하는 언론은 독자와 시청자에 의해 도태되고 결국 사라질 것이다. 언론을 둘러싼 모든 상황이, 세상이 달라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