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치사에 따르면, 봉건적 생활양식을 버리고 현대적 집단공동생활양식으로 전환함으로써 5.16 군사혁명을 생활혁명으로 바꾸고 궁극적으로 혁명 한국의 상징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수단이 고층아파트단지이며 이곳에 입주하는 주민들은 문화시민이고 앞으로도 이 유시(諭示)와 이념에 따라 고층아파트를 적극 건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내용은 쿠데타 이후 군사혁명위원회가 발표한 ‘혁명공약’3과 맞닿아 있다. 현대적 시설을 수단으로 불합리한 구악(舊惡)의 일소, 생활혁명을 통한 청신한 기풍의 진작, ‘집단공동생활양식으로 표상되는 공산주의에 대한 반공태세 강화’4 등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도구가 혁명 한국의 상징인 고층아파트이다. 또 그곳에 사는 입주자들이야말로 선진국의 국민들과 동등한 자격을 갖춘 문화시민이 될 수 있다는 말이었다.
남서울아파트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반포주공아파트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눈여겨보아야 할 사례이다. 마포아파트 건설 이후 여의도시범아파트, 한강맨션아파트와 더불어 중산층을 위한 아파트 대량 공급이라는 점, 한국적 공간 구성의 규범을 가지지 못했던 당시 아파트의 다채로운 평면구성 방식을 온전히 드러낸 대표적 사례라는 점, 아파트지구 지정 확대와 강남개발을 이해할 수 있는 교두보로써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반포주공아파트를 기점으로 아파트와 중산층의 친근 관계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주택을 소유하고자 하는 중산 계급들은 융자를 받았다. 주택 융자는 사무직 종사자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들은 회사를 다니고 있다는 사실로 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보다 많은 혜택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