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사마광이 말씀드립니다. "손광헌은 미세한 것을 보고 간할 수 있었고, 고종회는 좋은 의견을 듣고 고칠 수 있었으며, 양진은 공로를 이루고 물러날 수 있었으니, 예로부터 국가를 가진 사람이 이와 같이 할 수 있다면 무릇 어찌 나라를 망하게 하고 가정을 무너뜨리며 몸을 죽게 하는 일이 있었습니까?"

비록 무궁한 재물이 있다고 하더라도 끝내는 교만한 사졸들의 마음을 채울 수 없으니, 그러므로 폐하께서는 위급하고 곤란한 속에서 손을 잡고 천하를 얻었습니다. 무릇 나라의 존망(存亡)은 오로지 후한 상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고 역시 법도(法度)를 닦고 기강(紀綱)을 세우는 데에 있습니다.

황제가 학사(學士) 마윤손(馬胤孫)에게 말하였다.

"짐은 새로 천하에 다가갔으니 의당 언로(言路)를 열어야 할 것이며, 만약 조정의 인사들이 말한 것으로 죄를 짓는다면 누가 감히 말할 사람이겠는가! 경이 짐을 위하여 조서를 짓고 짐의 뜻을 선포하도록 하시오."

마침내 조서를 내려서 말하였는데, 그 대략이다.
"옛날에 위징(魏徵)은 황보덕참(皇甫德參)에게 상을 내리라고 요청하였는데, 지금 유도 등은 사재덕을 물리치라고 요청하고 있으니, 일은 같은데 말은 다르니 어찌 그것이 차이가 크단 말인가! 사대덕의 마음이 가슴에 품은 것을 기울여 충성을 다하고 있으니 어찌 책망할 만하겠는가?"

가만히 앞의 왕조를 보면 상원(上元, 당 숙종의 연호) 이래로 연영전(延英殿)을 설치하고 혹은 재상이 주문을 올려 논의하려고 하는 것이 있거나 천자가 자문하려고 하는 것이 있으면 옆에는 시위를 없앴으니 그러므로 사람들은 모두 말할 수 있었습니다. 바라건대 이 옛날에 있었던 일을 회복시키고, 오직 추요(樞要)의 신하들만이 옆에서 시중들도록 허락하십시오.

노왕이 성에 올라 울면서 밖에 있는 군사들에게 말하였다. "내가 관례를 올리지 않은 나이에서부터 돌아가신 황제를 좇아 백번 싸워 삶과 죽음을 넘나들며 온 몸이 쇠붙이에 상처를 입으면서 오늘의 사직을 세웠는데, 너희들이 나를 좇았으니 눈으로 그 일을 보았을 것이다. 지금 조정에서는 참소하는 신하들을 신임하고 골육(骨肉)을 시기하는데 내가 무슨 죄를 지었다고 죽임을 당하겠는가?"
이어서 통곡하였다. 듣던 사람들이 이를 슬퍼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