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에, 거란이 이미 강성해지고 나서 노룡(盧龍, 치소는 유주)의 여러 주를 노략질하는 것이 모두 두루 퍼졌으니, 유주(幽州, 북경시) 성문 밖에는 야만인의 기병으로 가득 찼다. 매번 탁주(?州, 하북성 탁주시)에서 운반되는 양식이 유주로 들어올 적마다 야만인들은 대부분 염구(閻溝, 북경시 서남쪽 양향진)
에 군사들을 매복시키고 이들을 노략질하여 빼앗았다.

임자일(4일)에 이종영이 들어와서 알현하자 황제가 그에게 말하였다.
"내가 비록 글은 알지 못하지만 그러나 유생(儒生)들이 경의(經義)를 강론하는 것을 기꺼이 들었더니 사람들의 지혜와 생각을 여는데 유익하였다. 내가 장종이 시 짓기를 좋아하는 것을 보았는데 장수 집안의 아들들은 글 짓는 것을 평소 익히지 않아서 다만 다른 사람에게 몰래 웃음거리가 되었으니 너는 본받지 마라."

대리소경(大理少卿) 강징(康澄)이 편지를 올려 말하였다.
"신이 듣기로는 동요(童謠)는 화복(禍福)의 근본이 아니라고 하였는데 재앙과 상서(祥瑞)로움이 어찌 융성과 쇠퇴의 근원이겠습니까! 그러므로 장끼와 꿩이 솥에 올라가고 상곡(桑穀)이 조정에서 자라더라도 은(殷) 종실의 융성함을 중지하게 할 수 없었습니다.
신마(神馬)는 길게 울고 옥귀(玉龜)는 길조(吉兆)를 알렸지만 진(晉)의 운명의 길게 끌 수 없었습니다."

"이것으로 국가가 두려워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것이 다섯 가지가 있었고 깊이 두려워할 만한 것이 여섯 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겠습니다. 음과 양이 고르지 못한 것은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니고, 삼진(三辰, 日·月·星辰)이 운행할 길을 잃어도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니고, 소인이 유언비어를 퍼뜨려도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니고, 산이 무너지고 냇물이 말라도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니며, 해충과 도적이 농사를 망친다고 해도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니지만, 현명한 인재가 숨으면 깊이 두려워할 만하고, 사민(四民, 士·農·工·商)이 직업을 옮겨도 깊이 두려워할 만하고, 위아래가 서로 자랑하여도 깊이 두려워할 만하고, 염치(廉恥)의 도(道)가 소멸되어가도 깊이 두려워할 만하고 명예를 훼손하고 진실을 어지럽혀도 깊이 두려워할 만하며, 곧은 말이 업신여기게 들리면 깊이 두려워할 만합니다.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닌 것은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있어도 논의하지 말고, 깊이 두려워할 만한 것은 폐하께서 수정하여 어긋나지 않게 하십시오."
우조(優詔)로 이를 장려하였다.

황제의 성품은 시기하지 않았고 무리와 더불어 다투지 않았으며, 등극하였을 때의 나이가 이미 예순 살을 넘었는데, 매일 저녁마다 궁궐 안에서 향을 피우고 하늘에 기원하였다.
"모(某)는 호인(胡人)으로 어지러운 시기를 이용하여 무리에게 추대를 받았습니다. 바라건대 하늘이시여 일찍이 성인을 태어나게 하시어 백성의 주군이 되게 해 주소서."
제위에 있는 기간 동안 곡식이 해마다 풍년이 들었고 병혁(兵革, 전쟁의 무기)이 드물게 사용되었으며 비교적 오대(五代) 가운데 대략 조금은 평안하였다.

민주(?主)가 귀신을 좋아하여 무당 성도(盛韜) 등이 모두 총애를 받았다. 설문걸이 민주에게 말씀을 올렸다.
"폐하의 좌우에는 간신이 많은데 이를 귀신에게 질문해보지 않고는 알 수가 없습니다. 성도가 귀신 보기를 잘하니, 의당 그들을 보게 해야 합니다."
민주가 이를 좇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