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에, 진양(晉陽, 산서성 태원시)에서 관상을 보는 사람인 주현표(周玄豹)가 일찍이 황제가 귀하기로는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되겠다고 예언하였는데, 황제가 즉위하자 불러서 대궐에 오게 하려고 하였더니, 조봉(趙鳳)이 말하였다.
"주현표는 폐하께서 마땅히 천자가 될 것이라고 말하였고, 지금 이미 입증되었으니 다시 물어볼 것은 없습니다. 만약 그를 경사(京師, 하남부)에 두게 되면 성급하고 가벼우며 미치고 험상궂은 사람들이 반드시 그의 대문에 폭주하여 다투어서 길흉을 물을 것입니다. 옛날부터 술사(術士)의 망언(妄言)이 사람과 집안을 멸망에 이르게 한 일이 많았던 것은 국가를 다스리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황제는 마침내 광록경(光祿卿)으로 임명하였으나 치사(致仕)하자 황금과 비단을 후하게 내릴 뿐이었다.

안중회가 말하였다.
"신이 가시덤불을 헤치고 폐하를 섬긴 지가 수십 년이고 폐하께서 용비(龍飛)하게 되어 기밀(機密)을 승핍(承乏)하였더니, 몇 년 동안 천하는 다행히도 무사하였는데 지금 하루아침에 버려서 외진(外鎭)으로 보내니 신이 바라건대 그 죄를 들려주십시오."

황제는 사자를 파견하여 왕안구에게 재촉하여 성을 공격하게 하니, 왕안구가 사자와 더불어 기병을 이어서 성을 순찰하면서 그곳을 가리키며 말하였다.
"성이 높고 험준함이 이와 같아서 설령 주인(主人)으로 하여금 밖에 있는 군사들에게 성에 오르는 것을 허락하게 하였다 하여도 역시 운제(雲梯)나 충거(衝車)로는 미칠 것이 아닙니다. 다만 정예의 군사를 많이 죽이면서 적에게는 손실을 주는 것이 없으니 이와 같은데 어찌합니까! 세 개 주의 조세를 가지고 먹게 하면서 백성을 아끼고 군사를 양성하고서 그를 기다리면 저들은 반드시 안에서 무너질 것입니다."
황제가 이를 좇았다.

조봉이 말하였다.
"제왕의 마음에 큰 믿음이 있으면 진실로 그것을 금석(金石)에 새길 필요는 없습니다."

옛날에는 인군(人君)이 즉위하고 태자를 세우면서 적서(嫡庶)의 구분을 명확히 한 것은 화란(禍亂)의 근원을 막기 위한 것입니다. 지금 후사를 점치고 저부(儲副)를 세우는 일은 신이 아직 감히 가볍게 논의할 수 없습니다.

황상이 또 풍도에게 물었다. "올해는 비록 풍년이 들었다 하지만 백성들은 넉넉하겠소?"
풍도가 말하였다. "농가에서는 그 해에 흉년이 들면 유랑하다가 굶어서 죽게 되고, 그 해에 풍년이 들면 곡물의 가격이 낮아지는데서 상처를 받으니, 풍년이든 흉년이든 모두 병들게 되는 것은 오직 농가만이 그러합니다.

서지고는 서지순을 불러 술을 마시면서 황금술잔에 따른 술을 그에게 내리며 말하였다.
"바라건대, 아우는 천세를 누리게."
서지순은 독이 있을 것으로 의심하여 그의 그릇을 끌어당겨서 그것을 똑같이 나누어가지고 꿇어앉아서 서지고에게 바치며 말하였다.
"형님과 더불어 각기 500살을 누리기 원합니다."
서지고가 얼굴색이 변하여 좌우를 돌아보며 받으려고 하지 않자 서지순이 술을 들고 물러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