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심지의 성격은 검소하고 절약하며 항상 마리(麻履, 삼으로 만든 신발)를 신었으며 부사(府舍)는 낮고 누추하였고 일찍이 지붕을 씌우지 않았다. 형벌에 관대하게 하고 부세를 가볍게 하여 공사(公私)가 부유하여 경계 안이 편안하였다.

화원(華原, 섬서성 요현) 도적의 우두머리인 온도(溫韜)가 차아산(嵯峨山, 섬서성 경양·순화·삼원의 세 현의 경계)에서 무리를 모아 옹주(雍州, 섬서성 서안시)의 여러 현을 갑자기 노략질하였는데, 당(唐) 황제들의 여러 능이 파헤쳐서 거의 두루 널려있었다.

촉주는 그가 공로를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원망하는 것이라고 의심하여 검교태보(檢校太保)를 덧붙여 주었으나 굳게 사양하고 받지 않고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청렴한 사람은 만족하여 걱정하지 않고 탐욕한 사람은 걱정은 하나 만족하지 못한다오. 나는 소인으로 지위가 여기까지 왔으므로 만족하는데 어찌 나아감을 구하기를 그침 없이 할 수 있겠소?" 촉주가 그 뜻을 가상히 여겨 이를 허락하고 상을 내리고 또 덧붙여 주었다.

황제는 구언경이 재간을 가지고 공로를 세워서 오랫동안 주위에 두었는데, 사사로이 재물을 가지고 죽은 사람 집에 보내어 죄를 대속하게 하면서 명령하였다.

마침내 침실에서 조서를 선포하고 풍행습에게 말하였다. "공은 스스로 몸을 잘 보양하고 업무는 보지 마시오. 이는 자손의 복이오."

황상이 말하였다. "이 사람들에게 죄가 없다는 것을 내가 알고 있지만 다만 지금 폐정을 개혁하는 초기라서 그들을 금액(禁掖, 금중)에 두고 싶지 않으며, 또 그곳에 머물게 하는 것이 좋겠으니 이 뜻을 가지고 깨우쳐주기 바라오."

진왕이 말하였다. "우리는 외로운 군대이고 멀리서 왔고 다른 사람을 구원하는 일이 시급하며, 삼진(三鎭)의 군대는 까마귀가 모인 것 같으니 속전(速戰)하는 것이 유리한데도 공은 마침내 군사를 누르며 신중을 기하려고 하는데 왜 그렇소?"
주덕위가 말하였다. "진(鎭)·정(定)의 군사는 성을 지키는 데는 뛰어나지만 야전(野戰)에는 부족합니다. 또 우리가 믿고 있는 것은 기병인데 평원인 광야에서는 유리하여 말을 달려 적진에 돌입할 수 있습니다. 지금 적의 보루의 문을 막아버리면 기병은 그 발을 펼칠 곳이 없어지고, 또 중과부적(衆寡不敵)이고 저들에게 우리의 허실(虛實)만 알게 한다면 사태가 위험해집니다." 왕이 기뻐하지 않고 물러나 장막 속에 누웠지만 제장들이 감히 말하지 못하였다.

주덕위가 고삐를 잡아당기며 간하였다. "양 군사의 형세를 보니 수고로움과 평안함으로 그들을 제압할 수 있는 것이나 힘을 가지고서는 이기기가 쉽지 않습니다. 저들은 군영에서 30여 리 떨어져 있어서 비록 마른 양식을 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역시 먹을 겨를이 없으며, 해가 기울어진 다음에는 굶주림과 목마름은 속에서 압박하고 화살과 칼날은 밖에서 엇갈려 사졸들은 피로에 지쳐서 반드시 물러날 생각을 갖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때를 당하여 우리는 정예의 기병을 가지고 그들을 올라타면 반드시 크게 승리할 것입니다. 지금은 아직 아니 됩니다." 왕이 마침내 중지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