둠 : 재앙의 정치학 - 전 지구적 재앙은 인류에게 무엇을 남기는가 Philos 시리즈 8
니얼 퍼거슨 지음, 홍기빈 옮김 / 21세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론에서 더 논의하겠지만, 미래에 다가올지 모르는 수많은 재난의 가능성을 알아낸다는 건 한마디로 불가능한 일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최소한 회복재생력을 갖춘 구조, 그리고 가능하다면 ‘앤티프래절‘, 즉 위기에 오히려 더 강한 사회적/정치적 구조를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 또 재난에 압도당한 사회에서 자주 나타나듯 사람들이 자신의 등에 채찍질을 가하는 혼돈으로 빨려드는 사태를 어떻게 막을 수 있을지와 더불어 ‘불운한 인류와 취약한 세계를 보호하려면 전체주의적 통치와 세계 정부가 필수적‘이라 꼬드기는 유혹의 소리에 어떻게 저항할지를 역사에서 배우는 것뿐이다. _ 니얼 퍼거슨, <둠 : 재앙의 정치학> , p80/1246

니얼 퍼거슨 (Niall Ferguson, 1964 ~ )이 <둠 : 재앙의 정치학 Doom: The Politics of Catastrophe>에서 내린 결론은 너무도 당연한 이야기이기에, 석학의 냉철한 현실 비판이나 코로나 19 이후 달라질 세상에 대한 전망을 기대했다면 다소 실망할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지만, 그의 전공이 역사, 그 중에서도 금융사임을 생각한다면 절제된 저자의 주장에 오히려 신뢰감을 느낄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니얼 퍼거슨이 <현금의 지배 The Cash Nexus>에서 보여준만큼의 통찰력을 발견할 수 없다는 점은 아쉽지만, 자신의 이전 저서들에 다룬 내용을 세 틀 - 회색 코뿔소, 검은 백조, 드래건 킹 - 로 다시 조명하면서 ‘전염병‘이라는 주제를 추가했다는 점에서 책의 의이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책에서 내가 이야기했듯, 예측하기 쉬운 종류의 재난에 해당하는 ‘회색 코뿔소‘였던 것이 실제로 재난이 현실화되면서 사람들을 갑자기 경악으로 몰아넣는 ‘검은 백조‘로 변하는 것은 쉽게 발생하는 일이다. 하지만 ‘검은 백조‘가 ‘드래건 킹‘, 즉 상상을 뛰어넘는 수의 사망자를 낳는 역사적 재난으로까지 변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_ 니얼 퍼거슨, <둠 : 재앙의 정치학> , p30/1246

사실 제1차 세계대전은 충분이 예측 가능한 ‘회색 코뿔소‘였다. 유럽 전체가 전쟁에 빠질 위험이 있다는 건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상태였다는 점에서 생각해봤을 때 말이다. 그러나 막상 발발 당시 모든 사람들이 당혹스러워했다는 점을 보면 그 전쟁은 깜짝 놀랄 ‘검은 백조‘였고, 그것이 낳은 광범위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보자면 진정한 ‘드래건 킹‘이기도 했다. _ 니얼 퍼거슨, <둠 : 재앙의 정치학> , p418/1246

역사 속에서 전문가들에 의해 예측된 사건들이 정치가들에 의해 무시되면서 위기가 생겨나고, 복잡계의 연결망으로 인해 큰 재난으로 발전하는 과정이 이번 코로나 19나 가까운 시기에 유행했던 스페인 독감(1918)만이 아니었다는 것은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던져줄 것인가. 그리고, 이러한 교훈을 통해 우리가 전염병 변이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재난의 진화를 막아낼 수 있을 것인가는 온전히 우리의 몫임을 확인하게 된다. 분명한 것은 선진국(우리나라를 비롯한)에서 자국의 안전만을 챙기기 위해 부스터샷을 하는 동안 1차 접종도 채 하지 못한 개발도상국들이 존재한다면, 우리는 끊임없이 오미크론(omicron)과 같은 변이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는 또한, 우리가 소외계층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와도 연결되는 지점이다. 현재는 과거의 연장이며, 우리가 사는 세계는 서로 분리할 수 없을만큼 긴밀하게 얽혀 있다는 것. 이것이 저자가 독자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역사의 교훈이 아닐런지.

세계 인구의 큰 부분이 백신을 맞지 못한 상태가 유지되는 한 새로운 유행과 새로운 바이러스 변이가 반복적으로 나타날 것이며, 이 때문에 우리는 정기적으로 부스터 백신 접종을 받아야 할 수 있고, 그 간격 또한 1년 이하가 될 수 있다. _ 니얼 퍼거슨, <둠 : 재앙의 정치학> , p29/12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