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민중사 - 백년전쟁에서 현재까지
제라르 누아리엘 지음, 권희선 옮김 / 인문결출판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싸움에 이기기 위해서는 양측 진영은 민중을 동원할 수 밖에 없었지만, 지도부 엘리트들은 그들의 무절제한 폭발력을 두려워했다. 또한 아무리 신앙심이 깊다 하더라도, 장점이라고는 학살에 동원할 수 있는 머릿수가 많다는 것뿐인 가난한 이들에게 자신의 재산과 부를 나누어줄 생각은 없었다. 결국 위그노와 가톨릭 양측의 과격함과 폭력은 왕권강화에 빌미를 제공하고 말았다. 왜냐하면 국왕만이 진영과 상관없이 모든 백성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였기 때문이다. _ 제라르 누아리엘, <프랑스 민중사>, p107/906

제라르 누아리엘의 <프랑스 민중사>의 배경은 잔다르크가 활약한 백년전쟁 시기로부터 현재 마크롱 대통령까지 시기다. 독자들은 백년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중앙집권화가 시작된 프랑스의 역사 속에서 민중의 마음을 얻는다는 것은 지배층이 권력을 얻기 위한 전제 조건이었음을 확인한다. 이후 귀족과의 대립 속에서 프랑스 민중의 마음을 얻는데 성공한 왕권은 중앙집권화에 성공했지만, 희생과 착취로 만들어진 절대군주제가 민중의 바람과는 다른 방향으로 역사를 진행시켰음도 함께 보게 된다.

1715년, 루이 14세가 세상을 떴을 때 프랑스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임에 틀림없었으나 나라는 이미 활력을 잃었고, 국민들은 가난에 지쳐 있었다.여기에 역사가 주는 교훈이 있다. 국가의 강성이 바로 국민의 행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바로 그 교훈이다. _ 제라르 누아리엘, <프랑스 민중사>, p105/906

근대 이후의 시기에 <프랑스 민중사>는 1789년 프랑스 대혁명으로 무너진 절대왕정 체제가 로베스피에르의 죽음으로 ‘평등‘보다 ‘자유‘의 가치가 강조되고, 이러한 기조가 자본주의와 결합되면서 어떻게 민족주의 국가에서 부활하게 되었는지,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변화된 사회와 사회가치 속에서 프랑스 민중의 현실을 톺아본다. 그리고, 역사 속에서 자유, 평등, 박애(또는 형제애)의 나라 프랑스가 아닌 극우주의자 르펜이 강력한 세력을 얻고 있는 현재 프랑스의 모습을 우리는 알게된다.

대혁명의 이상으로부터 너무도 멀리 와 버린 현실. 이를 통해 저자가 내린 결론 - 민중의 가야할 길은 무엇인가 - 에 대해서는 리뷰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극우주의의 대두는 사회전반에서 확인된다. 선거에서 가장 많은 민중 유권자가 선택한 것은 기권이었다. 이는 정치를 위한 정치에 대한 깊은 불신을 의미한다. 민중의 선거 외면은 현대 정치가 안고 있는 위기를 보여주는 중대한 현상 중 하나다. 사회 문제가 시사 이슈의 중심이었을 때에는 소외계층이 ‘부자‘, ‘부르주아‘, ‘기업가‘를 공격했다. 지금은, 여전히 투표장에 갈 의지가 남아 있는 사람들이 ‘외국인‘, ‘ 이주민‘, ‘무슬림‘을 공격하는 주장에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현혹되어 있다. _ 제라르 누아리엘, <프랑스 민중사>, p845/9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