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년 5 - 사상과 문화 3.1운동 100주년 총서 5
한국역사연구회 3.1운동 100주년 기획위원회 지음 / 휴머니스트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21년 초에 신채호는 잡지 <천고 天鼓>에 실은 글에서 "우리는 평화행복을 기구하는 바이지만, 강적 제거와 동양의 평안 도모는 '유혈' 두 글자를 떠나서는 이뤄낼 수가 없다... 적과 혈전을 벌일 것을 마음에 깊이 새기어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라고 하여, 혈전을 통해서만 일제 타도와 동양평화의 길트기가 가능하다고 역설한 바 있다.(p42)... 한용운은 인간에 대한 종교적 성찰에 바탕을 두고 인간 생명의 존립 조건으로서 '평화'를 표상했다. 즉, 인간다운 행복한 삶은 평화가 있어야만 가능하다고 했던 것이다. 따라서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평화를 지켜야 하며,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는 희생도 감수하겠다는 실천의지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자유와 평화를 지키는 것은 생명 있는 인간의 권리인 동시에 의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_한국역사연구회 3.1운동 100주년기획위원회, <3.1운동 100년 : 5 사상과 문화>, p75

3.1 항쟁은 비폭력 저항 활동이었는가. <3.1운동 100년 : 5 시상과 문화>는 비폭력 저항운동으로 알려진 3.1 항쟁의 뒷면을 보여준다. 독립 항쟁의 방법론에서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진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1880 ~ 1936)과 만해 한용운(萬海 韓龍雲, 1879 ~ 1944)처럼 3.1 항쟁안에는 여러 층의 다른 성격이 저항이 있었음을 우리는 확인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로 다른 목소리가 한데 어울어져 식민통치의 성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새로운 전기(轉機)를 만들어 냈다는 점에서 3.1 항쟁의 의의 중 하나를 발견한다. <3.1운동 100년 : 5 사상과 문화> 에서는 1919년을 전후하여 3.1항쟁을 만들어낸 시대 정신과 이를 공유했던 당대의 문화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선인과 일본인이 영원히 '동포'가 될 수도 없었다. 하지만 그러한 인종론의 틀을 견지하지 않을 수 없었던 이유는 일본이 조선을 통치하는 데 약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약점을 폭로한 것이 바로 3.1운동이었다... 어쨌든 일본은 인종이라는 틀을 유지하면서도 조선인을 민족으로 '동화'시키는 전망을 갖지 못한 채 '문화정치'로 돌입했다. 그리고 민족 간의 차별이 온존되면서 오히려 조선인의 민족의식이 확대되어 갔다._한국역사연구회 3.1운동 100주년기획위원회, <3.1운동 100년 : 5 사상과 문화>, p1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